AI 발전과 디지털 상호작용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개인 브랜딩의 중요성이 커지고, 평판의 개념이 기업을 넘어 개인과 소규모 그룹으로 확장되고 있다.
온체인 평판 솔루션은 사용자 소유의 자격 증명을 강화하고, 파편화된 평판을 통합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개별적인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돕는다.
온체인 평판 솔루션은 개인 신원 강화를 넘어 다양한 프로젝트가 참고할 수 있는 정제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어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평판은 우리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상호 작용을 위한 기본 레이어 역할을 한다. 평판은 그간 개인, 조직 또는 제품을 인식하는 ‘렌즈(lens)’ 와도 같은 역할을 하며 개인적인 소셜 관계부터 비즈니스 거래까지 상호 작용의 질과 다양성을 결정하는데에 주요한 요소로써 간주되어 왔다.
더욱이, AI의 발전과 디지털 상호작용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콘텐츠 및 크리에이터 경제의 개념이 부상하면서 개인 브랜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에는 주로 기업이나 제품을 중심으로 논의되던 평판의 가치가 이제는 개인이나 소규모 그룹에까지 확장되고 있다.
평판/자격 증명 솔루션들은 사용자 소유의 자격 증명에 풍부한 컨텍스트를 제공하고, 파편화된 평판을 총체적으로 구성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자신만의 방식대로 평판이 게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웹2와 웹3를 아우르는 모든 공간을 통틀어 더욱 자신을 잘 표현할 수 있게 되고, 다른 주체들과 더욱 풍부한 상호작용이 가능해지는 세상을 꿈꿀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의 출범이후 다양한 웹 서비스들이 등장하였지만, 그 중 단연코 가장 큰 성장을 이룬 서비스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일 것이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단순히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아이디어로 출발하였지만 지금은 정보 검색의 메카로써, 또한 그 어느 채널보다 강력한 마케팅 채널로써 활용되고 있다. 이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자체가 점점 더 다양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간으로 진화하게되면서 개인들의 다양한 데이터들이 축적되었고, 이를 통해 기업들이 개개인을 더욱 잘 식별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사용자들이 다양한 활동들을 하고 그것들을 식별할 수 있는 평판 솔루션이 더욱 범용적으로 활성화된다면, 기업들은 기존보다 훨씬 다양한 컨텍스트에서 세부적으로 개개인들을 분류할 수 있게 되고 고도화된 마케팅 수단 혹은 고객 관리 수단(CRM)으로써 평판 데이터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공산이 크다.
현재 온체인 상의 대출 플랫폼은 대부분 과담보대출(Over-collateralized lending)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프로토콜 내외에 걸쳐 과도한 청산 케이스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산의 자본 효율성을 상당 부분 희생할 뿐만 아니라 애초에 자산이 적은 이들의 대출 기회를 제한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 현실 세계에서의 금융 시스템들은 신용 점수를 정량화하여 금융 수용성을 어느정도 달성하지만, 온체인 상에서는 현실 세계와는 달리 신용 점수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정의하기가 어려웠으므로 그간 이러한 접근법이 진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DeFi가 애시당초 해결하고자 하였던 금융 민주화를 촉진하기위해서는 계정의 현재 잔액 이외의 개인의 다양한 정보(e.g., 신용 정보)들을 활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금융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웹3 평판 자격 증명과 같은 솔루션들은 사용자를 입체적으로 식별하고 설명하는데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탈중앙화된 거버넌스는 블록체인의 또 다른 유스케이스로써 각광받고 있지만, 현 PoS 패러다임 내에서 토큰 기반의 온체인 거버넌스는 금권 정치의 가능성으로 인하여 되려 조직 발전에 큰 허들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방법론들 (e.g., Quadratic Voting, Proof of Personhood, etc)이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보완하기 위해 제시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구성원의 기여도에 따라 의사결정 권한에 차등을 두어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웹3 평판 정보는 커뮤니티 내에서 개인의 성과를 투명하고 객관적인 방식으로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여도에 따라 보상을 제공하거나 조직 내에서 권한을 부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학교나 대학에서는 학력 증명을 위해 종이 기반의 증명서를 발급했다. 하지만 디지털 자격증은 이러한 학력 증명을 전자 시스템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학위나 수료 증명서를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면 학생들이 언제든지 쉽게 열람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기업이나 다른 교육 기관에서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의 디지털 자격증은 학력뿐만 아니라 특정 기술, 역량, 또는 경험을 기술하는 수단으로써 확대되고 있는데, 이는 교육의 접근성 자체를 향상시키는데도 큰 기여를 해오고 있다.
자격 증명은 이러한 증명서들이 단일 신원 내에 포괄적으로 더욱 잘 표현되게 할 수 있도록하고, 훨씬 더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온체인 상에서는 토큰 기반의 인센티브 구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볼 수도 있는데 - 보상 시스템은 자격 증명과 엮여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부여를 촉진하거나 학습자들로하여금 컨텐츠의 생산, 혹은 토론 등에 참여케하면서 더욱 투명하고 공정한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나가는데에 기여토록 할 수 있다.
기존의 게임들은 게임사마다 사일로된 환경에서 개발되다보니 그것들의 세계관이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 이에, 특정 게임 내 헤비 플레이어들은 자신들이 그간 게임 내에서 쌓은 성과, 스킬, 협업 능력 등의 평판정보를 다른 게임으로 옮겨갈 수 없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 웹3 생태계에서 특정 게임 내 플레이어의 활동들이 저장되고 증명될 수 있다면, 플레이어는 자신의 데이터를 다른 게임, 혹은 다른 메타버스 등에서 이어가며 동일한 평판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플레이어가 다양한 게임을 더욱 플레이하도록 장려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동시에, 타 플레이어와 다양한 상호 작용을 하는데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블록체인에 기록된 웹3 자격 증명은 개인의 역량과 전문성을 안전하고 투명하게 저장하고 증명할 수 있도록하는 신뢰수단이다. 이는 팀 내 협업이나 채용 과정에서 개인의 실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으므로 특정 프로젝트에 필요한 스킬을 가진 인재를 찾거나 해당 인원을 팀 내에서 어떤 역할을 맡길지 결정할 때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채용 프로세스 자체를 간소화하는데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협업 환경에서 팀원들이 계속해서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며 팀 전체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간접적으로 도울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업계에서 주목해볼만한 웹3 평판 솔루션들을 유스케이스와 사용성 관점에서 최대한 분류해보기 위해 활용 범위(Scope of Application), 그리고 구성 가능성(Composability)이라고 하는 두 가지의 독립적인 차원으로 분류하여 아래 그림에 프로젝션해보았다.
활용 범위
평판이 활용될 수 있는 영역은 개인의 소셜미디어 및 전자상거래 활동부터 채용, 금융, 국가 행정까지 그 영역이 매우 넓은데 각 영역에서의 평판은 그 활용처에 따라 서로 의미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보편적인(Universal)’ 인 영역과 특정 분야에서만 활용되는 ‘컨텍스츄얼(Contextual)’한 영역으로 평판의 활용 범위에 대한 스펙트럼을 구성하여 솔루션들을 분류해볼 수 있다.
구성 가능성
평판은 활용 목적과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어느 정도 평판을 구성하는 틀이 이미 갖춰진 ‘한정된 형식(Limited)’ 혹은 커스터마이즈한 방식으로 평판을 구성할 수 있도록하는 ‘유연한 형식(Flexible)’으로 구성될 수 있다.
Source: yaps.kaito.ai/
Yaps 시스템은 Kaito가 개발한 평판 분석 도구로, 사용자가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얼마나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나타내는 ‘마인드셰어 점수(Yap 포인트)’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범커뮤니티적으로, 혹은 특정 프로토콜과 관련된 대화 공간에서 누가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현재는 트위터(X) 활동을 기반으로 측정되지만, 향후 더 많은 소셜 기반 플랫폼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Source: yaps.kaito.ai/
현재 Yaps 시스템은 각 프로젝트마다 마인드쉐어를 많이 가진 Web3 사람들을 게시해주고 있고, 프로젝트들은 이 보드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있다. Yaps 시스템에 등록된 계정은 트위터활동을 통해 얻은 Yaps, Kaito Genesis NFT, 혹은 $KAITO를 스테이킹하여 어떤 프로젝트들이 향후 리더보드로 출시될 지를 투표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Yaps 및 Kaito Genesis NFT, 그리고 $KAITO의 유틸리티는 향후 더욱 확장될 예정이다.
Source: Ethos
Ethos Network는 Web3 생태계에서 신뢰 기반 경제를 구축하기 위해 설계된 블록체인 기반 평판 시스템이다. 사용자의 온체인 및 오프체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신뢰도를 평가하고, 이를 신용 점수처럼 활용할 수 있는 신뢰 점수(Credibility Score)를 제공한다. 이 점수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누구나 검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리뷰, 보증(스테이킹), 슬래싱(처벌) 등의 메커니즘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인물과 피해야 할 대상을 명확하게 구분지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익명성이 일반적인 Web3 환경에서도 신뢰성과 책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윤리적인 행동과 커뮤니티 참여를 유도하여 보다 안전하고 투명한 협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ource: Ethos
이러한 Ethos Network를 활용하여 구축된 Ethos Market은 신뢰 기반의 P2P 마켓플레이스로, 거래 참여자의 신뢰 점수(Credibility Score)를 거래 신호(trust signal) 또는 담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뢰도를 신뢰 증명(proof of trust)으로 활용하여 거래하거나 협업할 수 있으며, 신뢰도가 낮은 사용자는 자동으로 필터링되어 사기 및 악성 행위의 위험을 줄인다.
또한, 신뢰 시장(reputation market)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특정 인물의 신뢰도를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도록 하는 독창적인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기도 한다. 신뢰도가 높은 사용자는 더 나은 거래 조건을 받을 수 있고, 악의적인 행위를 한 사용자는 경제적 손실과 함께 신뢰도도 하락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신뢰를 중심으로 한 지속 가능한 Web3 경제를 형성할 수 있다.
결국, Ethos Network와 Ethos Market은 Web3에서 신뢰를 핵심 자산으로 만들고, 이를 경제적 거래와 협업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협력적인 탈중앙화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thos Network는 신뢰를 기록하고 정량화하는 역할을, Ethos Market은 이를 실제 경제적 활동에 적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 두 시스템이 결합됨으로써 Web3 공간에서 신뢰성과 책임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Source : Galxe Docs
Galxe는 개방형 웹3 자격 증명 데이터 네트워크로, 개발자들은 Galaxy Space 상에서 자유롭게 엑세스하여 Galxe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듈, 자격 증명 Oracle 엔진 및 자격 증명 API 등을 통해 자체적인 캠페인을 생성/관리하거나 그들만의 맞춤화된 서비스 및 자격 증명을 구현할 수 있다 - 이 때 만들어질 수 있는 자격 증명의 범위는 사용자의 각종 프로토콜들에 대한 온체인 자격 증명 뿐만 아니라 Discord, Twitter, 그리고 Snapshot과 같은 채널에서의 오프체인 자격 증명까지도 포함한다.
Source : Galxe
사용자의 경우, Galxe 상에 통합된 프로젝트들에 대한 활동 및 성과들을 기반으로 웹3 평판 점수(i.e., Galxe Web3 Score)가 계산되는데 이 점수는 소정의 보상을 클레임하고 추후 다양한 상호작용을 원활히 함에 있어 기반이 되도록 사용자의 신원을 강화하는 수단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
Source : POAP
POAP (Proof of Attendance Protocol)는 2019 ETHDenver 해커톤에서 처음 소개된 출석 증명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ERC-721 기반의 디지털 뱃지인 POAP는 누구나 무료로 발행가능하다.
POAP는 커뮤니티 내에서 개별 구성원들의 기여도 측정, 에어드랍을 위한 표식, 디지털 티켓, 특정 서비스에 대한 엑세스 권한 등 다양한 활동에 대한 증명을 나타내는 수단으로써 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이외에도 브랜드, 인플루언서 등에 의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
Source : Orange Protocol Docs
‘기존의 솔루션들이 정해놓은 양식을 넘어, 정말 필요하거나 조금 더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평판 자격 증명을 내가 직접 생성하고 가질 수는 없을까?’ 라는 문제에 대한 솔루션으로써 Orange Protocol이 등장하였다.
Orange Protocol은 각종 프로토콜, NFT 프로젝트, DAO 및 소셜미디어 데이터 등 온체인 및 오프체인 데이터 일체를 기반으로 나만의 평판 자격 증명을 생성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 이 때, 데이터의 스키마를 설계하여 제공하는 주체를 Data Provider(DP), 평판 모델을 만드는 주체를 Model Provider(MP)라 하는데 DP와 MP로부터 만들어진 데이터 셋 및 모델 셋들은 자의적으로 공개될 수도, 공개되지 않을 수도 있다.
Source : Reputation Studio
Orange Protocol을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이들은 웹3 사용자 혹은 DApp 빌더이다. 이들은 Orange Reputation Studio를 통해 자신만의 평판 레포트를 직접 구성하거나 Orange Protocol이 제공하는 SDK/API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격 증명들을 토대로 맞춤형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e.g., 평판 NFT 기반의 거버넌스 투표, 통합적인(holistic) 신용 평가를 통한 대출 상품 게시).
Source : Human Passport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개발자들의 이니셔티브를 촉진하기 위해 2017년 11월에 도입된 Gitcoin은, 개별 프로젝트에게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Quadratic Voting 방법을 이용하여 (토큰의 양이 아닌) 더욱 많은 개인으로부터 투표를 받은 프로젝트들이 더욱 많은 자금을 할당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은 기부금을 여러 주소로 나누어 Gitcoin이 matching pool에 할당하는 자금의 양을 늘리도록하는 Sybil 공격에 취약하다는 점이었다.
Gitcoin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논의해왔고 Passport을 출시하기에 이르렀다. Human Passport는 ‘스탬프(Stamp)’ 라고 불리는 다양한 웹2 & 웹3 자격 증명들을 통합하여 각 계정의 Humanity Score을 계산하는데, Passport의 Humanity Score가 높을수록 해당 계정이 개인에 의해 주로 관리되는 계정일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Source : Sismo Docs
Sismo 는 영지식 증명 및 개인정보 보호 기술들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 데이터를 집계하고 어플리케이션마다 선별적으로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이다 - 이 때 데이터의 소스는 Ethereum 지갑등과 같은 온체인 소스 뿐만 아니라 Twitter, Telegram 등의 오프체인 소스까지도 지원하는데, 각 데이터별로 ZK 증명을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공개하는 방식이다.
이 Sismo 의 첫 어플리케이션은 Sismo Connect 라고 하는 SSO(Single-Sign-On)였다. Sismo Connect를 통합하면 개발자들은 Data Vault에 비공개로 집계된 사용자들의 모든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즉, (ZKP로 구현된) Sismo Connect를 통해 프로덕트들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직접적으로 침해하지 않고 저마다의 고객 그룹을 구성할 수 있고, 이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ismo Connect를 통해 구축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은 Sismo App Store에서 찾을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점점 더 유용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색인화 및 분석 기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온체인 상의 평판 솔루션들은 단순히 개인의 신원을 강화하는 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수많은 프로젝트들이 참고할 수 있는 ‘다듬어진 형태의 구분자’로써 그 활용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을 기억해야할 것이다.
Disclaimer: 본 아티클은 23년 11월에 Four Pillars 플랫폼 상에 기발간된 본인의 아티클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관련 프로젝트 및 인물 등 :
Kaito
Ethos
Orange Protocol
POAP
Galxe
Disco
Human Passport
Sismo
Credora Network
Rabbithole
DegenScore
Karma
Cred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