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FP Research
    코멘트
    이슈
    아티클
    리포트
    FP Validated
    회사 소개
    X텔레그램뉴스레터
    로그인
    logo
    FP Research
    코멘트이슈아티클리포트
    Validator
    FP Validated
    소셜
    X (KR)X (EN)텔레그램 (KR)텔레그램 (EN)링크드인
    회사
    회사 소개
    문의
    Support@4pillars.io
    정책
    서비스 약관개인정보처리방침

    [ASC 스포트라이트] 시큐리타이즈: RWA 토큰화 리더

    2025년 9월 22일 · 9분 분량
    Issue thumbnail
    100y profile100yAsiaStablecoinAlliance profileAsiaStablecoinAllianceMoyed profileMoyed
    linked-in-logox-logo
    GeneralStablecoinSecuritizeSecuritize
    linked-in-logox-logo

    0. ASC 스포트라이트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얼라이언스(Asia Stablecoin Alliance)가 이번 해 9월 25일에 포필러스(Four Pillars), 레이어제로(LayerZero) 및 전 세계의 스테이블코인 리더들과 함께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컨퍼런스(Asia Stablecoin Conference, ASC)를 개최합니다. ASC 스포트라이트 컨텐츠는 참가자들이 ASC 행사에 진정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ASC 행사에 후원한 기업들을 사전에 조명하고, 이들이 아시아 시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담는 컨텐츠입니다.

    • ASC 스폰서: Pharos (Title), Ant Digital Tecnhologies (Title), Canton, Ethena, Kiln, Plume, Rialo, Securitize

    • ASC 참여자: Ant Digital Tecnhologies, Avalanche, Bybit, Canton, Ethena, Ethereum Foundation, Four Pillars, Frax, Grove, IDRX, Japan Smart Chain, Kiln, Lambda256, Layer Zero, Mantle, Maple, Neutrl, Pharos, Plume, RedStone, Rialo, Securitize, Sky, Solana, Spark, Stable, Stargate, Sumimoto, Theo, UR Bank, Wyoming Stable Token Commission

    ASC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 ASC 웹사이트: https://conference.asiastable.org/

    • ASC 참가신청: https://luma.com/la44fa6d

    1. 들어가며

    아직까지도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금융 시스템은 상당히 낙후되어있고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증권의 경우 수 많은 중개인이 개입하며 발행과 유통이 매우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다. 프라이빗 크레딧이나 기관 펀드의 경우 굉장히 폐쇄적이고 극소수의 사람만 이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블록체인의 효율성, 개방성은 다양한 실물 자산의 발행, 거래 유통을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RWA의 온체인 토큰화 미래는 이미 시작되고 있다. rwa.xyz에 따르면 온체인에 토큰화된 RWA의 규모는 $28B로, 이는 1년전보다 약 2배, 2년전보다 약 4배나 성장한 수치이다. 미국 채권 펀드뿐만 아니라 기관 펀드, 상품(commodities), 기관펀드, 주식 등 다양한 실물 자산들이 현재 활발하게 토큰화되고 있다.

    법정화폐나 금의 경우 증권이 아니기에 토큰화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외에 현실에서 증권으로 분류되는 실물 자산의 경우 당연히 각국의 증권법을 준수하면서 발행되어야 하며, 발행뿐만 아니라 온체인에서의 거래, 유통까지 규제를 준수하며 안전하게 이루어져야한다.

    2. 시큐리타이즈(Securitize) 개요

    시큐리타이즈는 2017년에 창립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증권을 토큰화하여 전세계의 기관, 개인들이 온체인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RWA 플랫폼이다. 시큐리타이즈는 전세계 RWA 시장에서 규모가 가장 큰 RWA 토큰화 플랫폼으로 $3B 이상의 RWA를 토큰화 하였으며, 모든 실물 자산을 통틀어 20%라는 상당히 큰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시큐리타이즈의 강점은 단순히 규제를 준수하며 증권을 토큰화한다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토큰화된 증권의 발행부터 유통까지 완전한 라이프사이클을 온체인에서 규제를 준수하며 지원한다는 것이다. 시큐리타이즈는 이를 가능케하기 위해 현실 세계에서는 다양한 라이센스를 취득했고, 온체인에서는 DS 프로토콜이라는 자체 기술을 활용한다.

    2.1 라이센스 측면에서의 강점

    우선 라이센스 측면에서, 시큐리타이즈는 미국에서 자회사들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라이센스를 취득했다:

    • SEC에 등록된 이전 대리인(transfer agent): Securitize, LLC가 이전 대리인으로 등록되어있으며, 시큐리타이즈 플랫폼에서 발행되고 거래되는 토큰화된 증권에 대해 소유권 기록 유지 및 관리, 이자 지급 처리 등을 관리할 수 있다.

    • SEC 및 FINRA에 등록된 브로커-딜러: Securitize Markets, LLC가 브로커-딜러로 등록되어있으며, 고객을 대신해 증권의 매매를 중개하고, 투자 상품의 유통 또는 판매를 할 수 있다.

    • SEC에 등록된 ATS 운영자: Securitize Markets, LLC가 ATS 운영자로 등록되어있으며, 거래소 역할을 담당하며 고객들의 거래를 매칭시켜줄 수 있다.

    이러한 라이센스들은 시큐리타이즈가 미국의 규제를 완전히 준수하면서 토큰화된 증권을 발행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하는 기반이된다. 시큐리타이즈는 미국뿐만 아니라 EU에서도 비슷한 라이센스들을 취득해, EU 시장에서도 RWA 토큰화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2.2 블록체인 기술 측면에서의 강점

    2.2.1 DS 프로토콜: 시큐리타이즈의 기술적 뼈대

    시큐리타이즈는 현실 세계에서 다양한 라이센스들을 취득하여 규제를 준수한다면, 온체인 세계에서는 DS 프로토콜이라는 기술적 뼈대를 통해 규제를 준수한다. DS 프로토콜은 토큰화된 증권이 온체인에서 규제를 준수하며 안전하게 발행, 유통될 수 있도록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모음으로, 주요 구성요소로는 1) DS 토큰, 2) DS 앱, 3) DS 서비스를 포함한다.

    • DS 토큰은 이더리움의 ERC-20 표준과 호환되는 토큰으로, ERC-20 표준이 제공하는 기본 기능들에다가 토큰화된 증권에 필요한 다양한 확장 기능을 추가한 토큰이다. 시큐리타이즈에서 발행되고 거래되는 BUIDL, ACRED와 같은 모든 RWA 토큰들이 DS 토큰이다.

    • DS 앱은 토큰화된 증권의 라이프사이클에서 발행, 거래 지원, 의결권 행사, 배당금 지급 등과 같은 다양한 이벤트들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 DS 서비스는 DS 토큰과 DS 앱이 규제를 준수하며 작동할 수 있도록하는 기반 인프라로, 트러스트 서비스, 레지스트리 서비스, 컴플라이언스 서비스라는 이름을 가진 스마트 컨트랙트의 모음이다.

    2.2.2 DS 프로토콜 작동 과정

    토큰화된 증권도 결국 특정 국가의 증권법에 의거하는 증권이기 때문에, 온체인에서 아무렇게나 자유롭게 발행, 유통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현실 세계에서 A 증권에 접근할 수 있는 투자자 요건이 미국 내의 qualified purchaser라면,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의 A 토큰도 미국 내의 qualified purchaser을 인증한 지갑만 접근할 수 있어야된다. 즉, 토큰화된 증권은 현실세계와 마찬가지로 온체인에서도 증권법 및 발행사의 규칙에 맞게 취급되어야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시큐리타이즈는 모든 토큰화된 증권을 DS 토큰의 규격에 맞추어 발행한다. 일반 ERC-20 토큰과 달리, DS 토큰은 발행되거나 전송될 때 자동적으로 컴플라이언스 서비스가 호출되며, 컴플라이언스 서비스는 해당 트랜잭션이 화이트리스팅된 지갑 사이에서 발생했는지, 규제는 준수하는지 등을 체크한다.

    트러스트 서비스는 특정 지갑 주소가 어떤 역할(발행사, 거래소, 등)을 가지는지 관리하는 권한 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레지스트리 서비스는 투자자들의 지갑 주소 및 국적, 적격 투자자 여부 등과 같은 속성 정보를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요약하면, 만약 토큰화된 증권인 DS 토큰에서 트랜잭션이 발생한다면, 컴플라이언스 서비스가 레지스트리 서비스를 참고하여 해당 트랜잭션 및 참여자가 규제를 준수하는지 확인하고, 규제를 준수하는 트랜잭션만 처리되게 보장함으로써 온체인에서도 현실세계의 증권법과 발행사가 설정한 규칙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S 프로토콜이 실제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 레벨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궁금한 독자들은 Four Pillars에서 작성한 “The Infrastructure of Tokenized Securities: How Securitize Powers the RWA Market”를 참고하라.

    3. 시큐리타이즈의 주요 서비스

    3.1 펀드 토큰화 (Fund Tokenization)

    Soruce: Securitize

    금융기관들은 시큐리타이즈를 통해 펀드를 토큰화하여 온체인에 발행할 수 있다. 이는 시큐리타이즈가 이전 대리인(transfer agent)의 역할을 하여 펀드의 소유권을 온체인에서의 토큰 소유권을 기반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기관 입장에서 펀드를 온체인에 토큰화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 즉각적인 정산(Instant Settlements): 기존에 수 일씩 걸리던 느린 정산 시간을 블록체인을 통해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 자동화된 컴플라이언스(Automated Comliance): 규제가 요구하는 사항들을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동적으로 강제할 수 있다.

    • 실시간 주주 데이터(Real-Time Shareholder Data): 온체인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접근하여 토큰 보유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 유동성에 대한 접근(Enhanced Liquidity Access): 블록체인 상의 풍부한 유동성에 24/7 접근할 수 있다.

    • 유연한 커스터마이징(Flexible Customization): 의결권, 배당금 등 다양한 기능들을 목적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시큐리타이즈는 이미 다양한기관들과 협업하여 미국 채권, 프라이빗 크레딧, 크립토, 프라이빗 에쿼티 등 다양한 종류의 펀드들을 토큰화하였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BlackRock BUIDL, VanEck VBILL, Apollo ACRED 등이 있다.

    3.2 펀드 관리 (Fund Administration)

    Source: Securitize

    2025년에 시큐리타이즈는 MG Stover의 Fund Administration 사업을 인수함으로써, 세계 최대 규모의 디지털 자산 펀드 관리자(administrator)가 되었다. 시큐리타이즈는 단순 펀드 관리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 펀드 회계 (Fund Accounting): 최신 펀드 성과 데이터 접근 및 운용/퍼포먼스 수수료 계산, GAAP 또는 IFRS 연말 재무제표 작성, 감사 추적 관리 등

    • 자문 서비스 (Advisory Services): 펀드 투자 전략에 따라 가장 적합한 펀드 구조 적용, 검토 서비스, 마케팅 퍼포먼스 평가 등

    • 투자자 서비스 (Investor Services): KYC,/AML 준수 온보딩, 서류 서명, 진행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서명 등

    • 크립토 펀드 서비스 (Crypto Fund Services): 거래소/OTC/지갑과 자동화 연동, 거래소 및 블록체인 거래 검증 포함 정산, 다양한 세무처리 방법 지원 등

    • 매니지먼트 기업 회계 (Management Company Accounting): 현금 및 거래 내역 조정(reconcile), 재무제표 작성, 연간 예산 수립 및 관리 등

    • 뱅킹 서비스 (Banking Services): 은행 계좌 개설 지원, 송금 요청 검토 및 거래 준비 등

    • 역외 컴플라이언스 서비스 (Offshore Compliance Services): AML 준법감시인 및 보고 담당자 서비스, FATCA/CRS 신고 지원 등

    4. 대표 사례: 블랙록 BUIDL

    BUIDL은 블랙록과 시큐리타이즈가 공동으로 만든 토큰화 MMF로, 기초 자산은 미국 국채, 현금성 자산, 레포로 구성되어있다. BUIDL의 발행 구조는 아래와 같다:

    • BlackRock USD Institutional Digital Liquidity Fund Ltd. (Fund Entity): BVI에 설립된 유한책임회사로 펀드 법인의 역할을한다. BVI에 설립된 이유는 세제상 효율성과 규제 유연성 확보 목적이다.

    • BlackRock Financial Management, Inc. (Fund/Investment Manager): 미국 델라웨어에 등록된 법인으로, BlackRock Inc.의 100% 자회사이다. 펀드의 자산 운용을 총괄한다.

    • Securitize, LLC (Transfer Agent): SEC에 등록된 Transfer Agent로 펀드의 소유자 명부를 관리하여 온체인을 기반으 소유권 기록을 담당한다.

    • Securitize Markets, LLC: SEC에 등록된 브로커리지로 BUIDL의 판매를 대행한다.

    • BNY Mellon (Custodian): 회계처리, NAV 산정 등 펀드 운영의 백오피스 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BUIDL의 준비금인 현금, 채권 등을 커스터디한다.

    • PwC LLP (Auditor): 글로벌 4대 회계법인 중 하나로 회계 감사의 역할을 담당한다.

    BUIDL의 기초 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은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을 활용해 홀더들에게 월~금 매일 자동으로 지갑에 이자를 지급한다. 이는 BUIDL의 가치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것이 아닌, BUIDL의 NAV는 $1로 고정되어있으며, BUIDL 토큰을 이자로 추가 지급한다. 이는 투자자들 입장에서 즉각적인 현금 흐름 확보, 재투자 기회, 운영 보고 투명성 향상의 이점을 가져다준다.

    BUIDL은 현재 이더리움, 아발란체, 폴리곤, 앱토스, 아비트럼, 옵티미즘, 솔라나 총 7개의 네트워크에서 발행을 지원하며, 대부분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에 발행되어있다. 블랙록과 시큐리타이즈는 여러 네트워크에 걸쳐 발행되어있는 BUIDL의 파편화를 방지하기 위해 크로스체인 메시징 프로토콜 웜홀(Wormhole)과 협력하여, BUIDL이 웜홀 브릿지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위를 심리스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BUIDL은 토큰화된 MMF로써 에테나(Ethena), 프랙스(Frax), 스카이(Sky) 온도(Ondo) 등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이를 기반으로 스테이블코인 혹은 일드베어링 상품을 발행한다. 온체인에서의 활발한 활용도 덕분일까, BUIDL은 미국 채권 기반 펀드 토큰 중 약 $2.2B라는 압도적인 발행량을 가지고 있고, 이는 2등을 차지한 WisdomTree의 WTGXX에 비해 두 배를 훌쩍 넘는 규모이다.

    5. 팀과의 Q&A

    5.1 시큐리타이즈는 아시아 지역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바라보나요?

    아시아는 디지털 자산 도입에 있어 가장 앞서가는 지역으로, 토큰화 금융을 위한 명확한 제도적 프레임워크를 구축 중인 주요 금융 허브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아시아를 전통 자본 시장과 온체인 인프라를 연결하는 가교로 보고 있으며, 규제를 준수하는 즉시 결제와 24/7 배당금 분배 같은 하이브리드 파이낸스 사례를 확장하기에 이상적인 무대라 판단합니다. 시큐리타이즈의 전략은 아시아의 투자자와 기관을 규제된 온체인 증권과 연결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효율성을 증권법의 친숙한 보호 장치와 결합하는 것입니다.

    5.2 시큐리타이즈가 아시아에서 현재 진행 중인 사업 활동이나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단기적으로는 아시아의 적격 투자자, 패밀리 오피스, 기관들이 시큐리타이즈 플랫폼을 통해 규제된 토큰화 달러 현금성 자산과 사모 시장 상품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집중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SEC 등록 브로커 딜러, 디지털 이전 대리인, 펀드 관리자, SEC 규제 ATS 운영자의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시에 현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화이트리스팅 된 지갑 네트워크와 아시아 거래 창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테이블코인 기반 구독·상환과 토큰화 증권을 담보로 활용하는 유동성 시장 참여도 모색 중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지역 은행, 커스터디 기관, 핀테크 기업들과 협력해 현지화된 운영 체계를 갖추면서도 글로벌 규제 기준을 유지해 나갈 계획입니다.

    5.3 시큐리타이즈가 아시아에서 운영하거나 확장할 때 직면하는(또는 예상하는) 과제는 무엇인가요?

    기회가 큰 만큼 복잡성도 큽니다. 주요 과제로는 시장마다 상이한 규제, 모집 및 유통 규정의 차이, 국경 간 투자자를 위한 KYC/AML, 토큰화 증권의 커스터디 및 회계 처리, 그리고 온·오프램프 연결을 위한 외환·세금·은행 인프라 문제 등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과제에 대해 컴플라이언스 우선 모델을 채택하고, 현지 전문가 파트너와 협력하며, 투자자와 함께 이동 가능한 상호운용적 통제 장치(예: 화이트리스트, 인증)를 통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5.4 시큐리타이즈가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얼라이언스(ASA)에서 기대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우리는 실질적인 표준과 파일럿 프로젝트를 기대합니다. 구체적으로는 권한 있는 지갑을 위한 상호운용 가능한 KYC/인증 스키마, 스테이블코인 기반 자금 흐름(구독·상환, 분배)에 대한 모범 사례 가이드라인, 그리고 규제 준수 온체인 자산이 국경을 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정책적 조율이 필요합니다. 또한 발행자, 배급사, 재무 담당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케이스 스터디와 참조 구현을 발간하는 워킹 그룹도 환영합니다. 이를 통해 기관들이 단순한 개념 증명을 넘어 실제 운영 단계까지 자신 있게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봅니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모두 올바른 방식으로 토큰화 산업을 발전시키길 원합니다. 그 최선의 길은 모든 의사 결정자들이 같은 자리에 모여 논의하는 것이며, ASA가 시큐리타이즈를 아시아 최대 자산운용사 및 규제 당국과 연결해 함께 토큰화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6. 마치며

    시큐리타이즈는 미국/유럽 관할 내의 다양한 라이센스와 기술적 뼈대인 DS 프로토콜을 통해 온체인 생태계에서 규제를 준수하며, 토큰화 증권의 발행부터 유통까지 처리할 수 있는 몇 안되는 토큰화 플랫폼이다. 시큐리타이즈는 이미 TVL 측면에서 글로벌 RWA 플랫폼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아시아 시장에서도 기존 영향력을 바탕으로 증권 시스템을 혁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최신 이슈
    ALT DAT 시즌은 끝났을까?
    12시간 전

    ALT DAT 시즌은 끝났을까?

    author
    100y
    초개인화 시대에 베팅하는 Anime.com
    5일 전

    초개인화 시대에 베팅하는 Anime.com

    author
    Ponyo
    스트라타, 펜들의 뒤를 이을 수 있을까?
    10일 전

    스트라타, 펜들의 뒤를 이을 수 있을까?

    author
    100y
    가입하고 무료 뉴스레터 구독
    최신 크립토 산업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로그인

    관련 아티클

    내년에 떠오를 주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Article thumbnail
    10 분 분량2025년 7월 17일

    스테이블코인 결제: 은행과 카드 네트워크에게 위협인가?

    General
    Stablecoin
    author
    100y
    Article thumbnail
    22 분 분량2025년 6월 30일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무조건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발행해야한다 (ASA 오피니언 #2)

    General
    Stablecoin
    authorauthor
    100y, AsiaStablecoinAlliance
    Article thumbnail
    39 분 분량2025년 4월 03일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과 한국의 대응 방안

    General
    Stablecoin
    author
    J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