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EigenLayer - DefiLlama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리스테이킹 프로토콜인 아이겐레이어의 TVL이 150억 달러를 돌파했다. EigenLayer가 예치의 한도를 해제하여 더 많은 AVS가 운영될 수 있게 되면서 TVL이 이렇게 크게 증가하였다. EigenLayer은 사용자가 네이티브 이더와 유동성 스테이킹 이더를 모두 스테이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는 다시 다른 프로토콜의 보안을 위해 스테이킹된다.
2024년 4월 9일 프로토콜이 출시된 이후 몇 가지 업데이트와 새로운 기능이 도입되었다. 주목할 만한 변화 중 하나는 EigenDA에서 운영자에게 요구되는 최소 지분을 320 이더에서 96 이더로 낮춘 것이다. 이러한 조정으로 인해 소규모 운영자의 참여가 더 쉬워져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견고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이겐레이어는 6개의 새로운 검증 서비스를 추가했다: 알트레이어, 브레비스, 오라클, 라그랑주, 위트니스체인, Xterio가 새로 추가되었다.
또한, 아이겐레이어는 이번 달에 네이티브 $EIGEN 토큰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출시와 동시에 16억 7천만 개의 토큰이 유통될 예정이며, 이 중 45%는 커뮤니티 인센티브에 할당되어 스테이킹드롭, 커뮤니티 이니셔티브 및 생태계 개발에 균등하게 분배된다. 또한 투자자와 초기 기여자가 각각 29.5%와 25.5%의 지분을 보유하며, 장기적인 안정성과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3년 동안 락업 된다.
Source: Summary analytics of token sales | CryptoRank.io
최근 IDO(초기 거래소 공개), ICO(초기 코인 공개), IEO(초기 거래소 공개)를 포함한 토큰 판매 활동이 4월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펀드레이징은 솔라나 생태계에서 설계된 상호운용성 레이어인 제우스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졌다. 제우스 네트워크는 주피터 LFG에서 진행된 IDO를 통해 2,875만 달러의 자금을 모으며 성공적으로 펀딩 라운드를 마쳤다.
주목할 만한 다른 토큰 투자 유치로는 1,535만 달러를 모금한 피요르드 파운드리와 1,209만 달러를 모금한 카타모토 등이 있다.
Source: Runes by cryptokoryo
Rune Protocol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새로운 표준으로, 특히 밈코인을 중심으로 토큰을 발행할 수 있게 해준다. 이 프로토콜은 트랜잭션 출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소량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포함할 수 있는 스크립트인 OP_RETURN OP코드와 함께 비트코인의 기존 미사용 트랜잭션 출력(UTXO) 모델을 사용한다. 따라서 Rune Protocol은 오디날 프로토콜에서 파생된 BRC20과 같은 표준과 같은 이전 방식에 비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토큰화를 더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메커니즘이 될 수 있다.
Rune Protocol은 출시 후 첫 주에 1억 3,500만 달러 이상의 거래 수수료를 창출했으며, 이는 비트코인 커뮤니티 내에서 높은 채택률과 유용성을 입증하는 것을 반증한다. 4월 25일, 룬 관련 거래가 전체 네트워크 활동의 45%를 차지하면서 비트코인 거래에 대한 룬 프로토콜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토콜이 시작된 이래, 새로운 토큰 표준과 관련된 3백만 건 이상의 거래가 이루어졌다. 특히, 평균 거래 수수료가 5달러에서 40달러로 치솟으며 블록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으며, 이는 룬 활동으로 인해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거래 수수료의 정점은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의 상승과 동시에 발생했는데, 이는 반감기 직후에 처음으로 발생한 것으로 네트워크 내에서 채굴자의 참여와 검증 노력이 강화되었음을 시사한다.
이 새로운 기준에 따라 발행된 토큰은 현재까지 약 11,000개의 룬 토큰이 생성되었다. 이 중 룬스톤 NFT 컬렉션과 관련된 DOG 토큰은 4억 달러가 넘는 시가총액을 자랑하며 특히 눈에 띄는 모습을 보였다. 그 밖에 주목할 만한 토큰으로는 RSIC 제네시스, 사토시 나카모토, 완코 만코, 비트코인 페페 매트릭스 등이 있다.
MakerDAO proposes allocating $600 million worth of DAI into USDe and sUSDe | The Block
Safe | EIP-3074: Risks/Opportunities for Smart Account Adoption
Source: Sui l SuiPlay0X1 - Coming 2025
수이의 개발사 미스텐 랩스에서 발표한, 2025년에 출시 예정인 SuiPlay 0x1은 웹3 기술을 통합한 휴대용 게임 콘솔이다. Playtron과 협력하여 개발된 이 기기에는 Android와 유사하지만 게임에 특화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갖으며 디바이스에 구애받지 않는 게임 운영 체제인 PlaytronOS가 탑재되어 있다. 이 OS는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을 지원하며 Steam, 에픽게임즈 스토어, 수이 웹3 전용 게임과 같은 주요 게임 스토어와 호환된다.
SuiPlay 0x1의 핵심 기능은 게임 하드웨어 업계 최초로 디지털 자산 소유권을 사용자의 기기 계정에 직접 연결하는 zkLogin 및 수이 키오스크 SDK와 같은 기능을 갖춘 수이 블록체인과 통합된 것이다. 이를 통해 게임 콘솔을 통해 경제적 거래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거래 비용 없이 자산 관리와 거래 효율성을 위한 블록체인의 기능을 활용하여 플레이어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콘솔은 단순한 게임 기기가 아니라 광범위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잠재적으로는 암호화폐 채굴과 같은 활동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Source: Tweet by John Collision, Founder of Stripe
디지털 결제 분야의 주요 업체인 Stripe는 암호화폐에 관여해 여러 시도를 한 역사가 있었으며 여러 성공과 실패를 경험했었다. 2014년에 Stripe는 디지털 통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것을 보고 비트코인을 통해 여 시돌도작 습작했다. 2018년에 Stripe는 암호화폐의 변동성, 긴 거래 시간, 수수료 증가로 인해 비트코인의 교환 수단으로서의 효용성이 낮다는 이유로 비트코인 지원을 중단했다. 지원을 중단한 시기는 '암호화폐 겨울'로 알려진 암호화폐 시장의 주요 침체기와 맞물려 비트코인 가치가 급락한 시기였다.
몇 년 동안 암호화폐 업계에서 한 발 물러나 있었지만 Stripe는 지속적으로 시장을 주시했다. 2019년에는 페이스북이 주도하는 글로벌 디지털 화폐 개발을 위한 이니셔티브인 리브라 협회에 가입하며 디지털 화폐의 잠재력에 다시금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이후 프로젝트에서 탈퇴했고 결국 프로젝트는 여러 난관에 부딪혀 출시 되지 못했다. 2022년에는 법정화폐와 암호화폐 간 결제를 촉진함으로써 암호화폐 분야에 다시 뛰어들어 디지털 화폐 솔루션을 서비스에 통합하는 또 다른 발걸음을 내디뎠다.
그리고 2024년에는 암호화폐 결제 옵션을 다시 도입할 것이라고 이번달에 발표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비트코인과 같이 변동성이 큰 통화보다는 스테이블코인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Stripe은 Solana, Ethereum, Polygon과 같은 주요 블록체인에서 Circle의 USDC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한 결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많은 암호화폐의 높은 변동성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즉각적인 결제 및 거래 비용 절감과 같은 블록체인 기술의 이점을 활용하려는 Stripe의 전략적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암호화폐 결제를 다시 통합하기로 한 이번 결정은 글로벌 인터넷 경제에서 디지털 통화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인프라가 성숙해지면서 실용적인 교환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점을 Stripe이 인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