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의 키워드는 1) RaaS 프레임워크, 2) 증명 시스템, 3) zkWASM으로 요약할 수 있다.
RaaS 분야에서는 AltLayer가 추가 투자를 유치했으며, Polygon에선 Supernets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Polygon CDK를 출시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현재 RaaS 프로젝트가 쓰임새에 비해 너무 많다고 생각하긴 하지만, 이제 롤업을 쉽게 배포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만연한만큼 다양한 롤업 네트워크들이 등장하길 기대한다.
증명 시스템의 경우 아직도 수많은 롤업 네트워크에서 가장 신경쓰는 부분이다. 한 때 커뮤니티에서는 옵티미즘 및 OP-Stack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들(Base, Zora, …)이 아직 사기 증명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데, 이걸 롤업 네트워크라고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해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만큼 증명 시스템은 롤업 네트워크의 핵심 중 핵심이라고 할 수 있으며, Arbitrum이 새로운 탈중앙 사기 증명 시스템인 BOLD를 공개하거나, StarkWare에서 기존의 STARK Prover를 오픈소스화 하는 등 다양한 업데이트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8월에는 Fluent 및 Delphinus Lab과 같은 zkWASM 프로젝트들이 주목을 받았다. 여태까지 EVM의 연산에 대해 ZKP를 생성하는 zkEVM 프로젝트들은 많았으나, zkWASM 프로젝트들은 많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zkWASM을 사용하는 롤업 네트워크에선 Solidity/Vyper 이외의 언어들(Rust, C/C++, Go, etc.)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zk롤업의 이점을 가져갈 수 있을 것이다. 미래엔 당연히 모든 zk롤업들이 EVM을 사용하진 않을 것이며, 따라서 zkWASM에도 관심을 가지고 팔로업을 하는 것을 추천하는 바이다.
Arbitrum의 개발사인 Offchain Labs에서 탈중앙 사기증명 시스템인 BOLD (Bounded Liquidity Delay)를 공개하였다. 옵티미스틱 롤업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보안을 의존할 수 있는 이유는 사기증명 시스템 덕분인데, 현재 Arbitrum 생태계의 사기증명 시스템엔 중앙화된 주체들만 참여할 수 있다. 만약 중앙화된 주체들이 사기 증명 시스템에서 악의적으로 행동한다면, 가장 대표적으로 delay attacks가 가능하다. 이는 사기 증명 시스템에서 L1으로 결과값의 컨펌을 악의적으로 지연시키는 공격이다. 반면에 BOLD에서는 여러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고, 정직한 단일 밸리데이터만 존재하여도 네트워크는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Four Pillars에서 수 많은 모듈러 프로젝트들에 대한 설명을 한 페이지에서 볼 수 있도록 독스 형식으로 만든 ‘Modular Odyssey’를 공개했다. 모듈러 프로젝트들을 Rollup, RaaS, Sequencing, Data Availability로 나누어 분류하였으며, 각 프로젝트들의 아키텍쳐를 다뤘다. 추후에는 모듈러 생태계에서의 이코노믹스나 상호운용성 섹션까지 추가할 예정이다.
Modular Odyssy 링크: https://modular.4pillars.io/
셀레스티아 생태계의 시퀀싱 프로젝트인 Astria가 Astria Development Cluster를 공개했다. Astria Development Cluster는 개발자들이 Astira Sequencer를 사용하는 롤업 네트워크를 손쉽게 만들도록 도와준다. 이 롤업 네트워크들은 DA Layer로 Celestia, Execution Layer로는 Geth가 지원될 예정이며, faucet, block explorer와 같은 기본적인 서비스들도 지원될 예정이다.
StarkWare가 STONE(Starknet One)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Apache 2.0 라이센스 하에 STARK Prover를 오픈소스화 할 예정이다. STARK Prover는 StarkWare 생태계의 핵심으로, 연산에 대한 영지식 증명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2020년부터 Immutable X, Sorare, dYdX와 같이 StarkEx 엔진으로 만들어진 프로덕트들도 STARK Prover를 사용해왔다. 이번에 STARK Prover를 오픈소스화 하게되면 더 많은 개발자들이 코드에 접근 가능해짐으로써 투명성 및 취약점에 대한 견고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Polygon이 Supernets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Polygon CDK를 공개했다. Polygon Supernets은 L1을 쉽게 만들 수 있는 프레임워크로, Nubank, Nexon 등 기업들이 자신만의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많이 사용했었다. 이번에 공개된 Polygon CDK는 이에 더 나아가서 ZK기술을 활용하는 L2를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하며, CDK Chains는 자동으로 Polygon 2.0 생태계의 Interop Layer에 연결됨으로써 ZKP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들과 trustless한 방식으로 매우 빠른 상호운용성을 달성할 수 있다. Polygon CDK를 통해 수 많은 서비스들이 Polygon 2.0 생태계에 손쉽게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는 zk롤업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가상머신 중 EVM이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하지만 코스모스, 니어 프로토콜 등 WASM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들도 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으며, 현재는 zkWASM 프로젝트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Fluent로, Fluent는 이더리움 생태계를 위한 zkWASM exeuction layer를 개발하고 있다. 개발자들은 Fluent를 통해서 Solidity/Vyper와 같은 이더리움 생태계의 언어가 아니라, Rust, TypeScript, C/C++, Go와 같은 WASM 기반의 언어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할 수 있게될 것이다.
*해당 정보는 DefiLlama's raises page를 참고하였다.
Delphinus Lab은 zkWASM을 기반 앱롤업을 위한 SDK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각 앱롤업들은 WASM 연산에 대하여 zk-SNARK 증명을 생성하여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보안을 의존할 수 있고, ZK-Relayer를 통해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trustless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다. 펀딩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AltLayer는 코드 없이 롤업 네트워크를 쉽게 배포할 수 있도록하는 RaaS 프로젝트이다. AltLayer의 아키텍쳐에는 Beacon Layer가 존재하여 연산 레이어와 DA 레이어 사이의 시퀀싱, 상호운용성 등을 담당한다. AltLayer가 다른 RaaS 프로젝트들과 비교하여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은 Flash Layer이다. Flash Layer란 필요할 때 배포할 수 있는 롤업 네트워크로, 사용이 끝난다면 다시 폐기할 수 있다. 이번 펀딩에서 자금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Polyhedra Network, 옵티미스틱 롤업을 위한 빠른 브릿지 완결성을 위해 Lagrange Labs와 파트너쉽
Altlayer, RaaS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들(e.g., Hyperlane, Sovereign SDK, Radius, Avail)과의 파트너쉽
Immutable X, Polygon zkEVM 기술 스택을 활용한 Immutable zkEVM의 테스트넷 출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리스테이킹 프로토콜인 EigenLayer가 초기 생태계에 참여하는 AVSs(Actively Validated Services) 리스트를 공개했다. AVSs란 EigenLayer에 참여하는 프로토콜로, 리스테이킹된 ETH 토큰의 보안 및 밸리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초기 생태계에는 총 12개의 AVSs가 참여한다: AltLayer, Blockless, Celo, Drosera, Espresso, EigenDA, Hyperlane, Lagrange, Mantle, Omni, Polyhedra, WitnessChain. 이 아티클은 각 AVSs들의 간략한 개요와 EigenLayer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설명해두었다.
이 글은 파리에서 Celestia와 Maven11이 주최한 Modular Summit 2023에 대한 Recap을 다루는 Modular Media의 글이다. 각 모듈러 요소(e.g., DA, RaaS, ZK, Interoperability, Sequencer, etc.)마다 중요했던 내용과 그 외의 흥미로운 주제가 많이 포함되어있어, Modular Summit 2023을 방문하지 못한 독자들에게 추천한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Deneb Cancun 업그레이드가 곧 다가오면서, EIP-4844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EIP-4844는 롤업 네트워크들의 데이터 저장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 공간인 Blob을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추가하는 업그레이드이다. EIP-4844가 도입 된 이후로 롤업 네트워크들의 확장성이 비약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개선되며, 이 글은 EIP-4844에 관한 전반적인 모든 것을 다룬다.
최근 롤업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의 순서를 정렬하는 시퀀서(Sequencer)의 역할을 탈중앙화하려는 시도가 많이 생기고 있다. 이 글에서 NashQ는 시퀀서의 역할을 애그리게이터(Aggregator)와 헤더 프로듀서(Header Producer)로 나누어 생각해야된다고 이야기한다. 시퀀싱에 관한 흥미로운 멘탈 모델을 제시하기 때문에, 시퀀싱에 관심이 있다면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 글의 비주얼을 제공해주신 Kate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