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을 기점으로 Restaking과 Liquid Restaking 관련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한 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EigenLayer에 의해 도입된 개념인 'Restaking'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이더나 스테이킹된 자산(예: stETH)을 예치하고, EigenLayer 기반의 AVS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Restaking은 추가적인 위험을 감수하고 더 많은 수익을 원하는 예치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이다. Restaking 예치자들은 EigenLayer를 통해 자신의 자산을 객관적으로 검증될 수 있는 경우에 한해 페널티 또는 '슬래싱'을 받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신뢰를 제공한다. EigenLayer가 AVS 기반의 네트워크에게 제공하는 가치의 핵심은 이더리움의 탈중앙화된 신뢰 체계를 모듈화한 것이다. Restaking을 통해 AVS 서비스는 별도의 검증자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않고도 이더리움의 보안 기능을 대여할 수 있다. Restaking은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시장의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추어 새로운 참여자들과 기업가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최근 시장에서 크게 주목 받고 있는 개념 중 하나인 유동성 리스테이킹 토큰, LRT는 리스테이킹 포지션을 나타내는 토큰이다. LST(유동성 스테이킹 토큰)와 유사한 개념으로, 리스테이킹한 자산을 보다 더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유동성 스테이킹 시장은 현재 매우 경쟁적이며, 다수의 플레이어가 참여하고 있다. 현재 시점 기준 Ether.fi가 총 TVL 순위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Puffer Finance, KelpDAO, Renzo, EigenPhi와 같은 주요 프로토콜들이 바짝 추격하고 있다. 각각의 프로토콜은 보상, 출금 기간, 수익률 메커니즘 등에서 차별화 된 특징을 보여주지만, 아직 확실한 선두 주자는 정해지지 않았다. LRT 프로토콜들에 대해 더 자세한 알고 싶다면 cookies가 작성한 LRT 프로토콜의 Landscape와 비교표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Restaking 예치자를 위한 LRT는 네이티브 토콘의 예치자들을 위한 LST와 유사한 가치를 제공한다. 유동성 스테이킹 공급자의 주요 역할은 예치자를 신뢰할 수 있는 노드 운영자와 연결하는 것이다. LST의 운영자들은 검증자를 설정하고 스테이킹 포지션을 나타내는 영수증 토큰을 발행한다. 이 과정은 예치자에게 직접 이더리움 노드에 예치하는 것보다 원활하고 안전한 스테이킹 경험을 제공한다. 하지만 LRT 제공자는 선택한 단순히 노드에 자금을 예치하는 것 이외에도 AVS 네트워크의 위험 수준을 관리하는 추가적인 임무를 부여받게 된다. LRT 서비스의 제공자에게는 LRT 보유자의 잠재적 위험과 수익률의 균형을 맞추는 역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동성 리스테이킹은 위험을 최소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AVS 네트워크에 전략적으로 자본을 분배하는 정교한 포트폴리오 관리 역량을 필요로 한다. LRT 서비스 제공자의 핵심 가치 중 하나는 다양한 네트워크의 특성과 잠재력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위험 대비 보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LRT는 Restaking과 DeFi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기회를 제공한다. LRT는 예치자로 하여금 단지 리스테이크 과정을 개선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더 넓은 DeFi 생태계에 참여하는 방식 또한 변화시키고 있다. Restaking 예치자는 추가 수익률의 혜택을 누리는 동시에 다양한 Defi 프로토콜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선택권을 유지할 수 있다. LRT가 제공하는 유연성과 효율성은 예치자의 자본 효율성을 높이고 수익을 최적화하려는 투자자에게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LRT가 가져온 또 다른 중요한 발전은 해당 토큰을 기반으로 한 파생 금융 상품 시장의 탄생이다. LRT의 파생 상품 시장은 예치자로 하여금 투기 및 수익률 트레이딩의 기회를 제공하며, Defi 시장에 복잡성과 리스크를 추가한다. 현재 LRT의 파생 상품 중 가장 선두에 있는 프로젝트는 Pendle Finance이다. Pendle Finance는 토큰의 원금(Principle Token)과 수익률(Yeild Token)을 분리하여 다양한 거래 전략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펜들 파이낸스와 같은 LRTfi 프로토콜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다. Pendle Finance의 성장은 시장에서 LRT 프로토콜들이 빠르게 침투하고 통합되는 것에 기인하며, 이러한 변화가 Defi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Source: Anzen Network
Hydrogen Labs에 의해 개발된 Anzen Protocol은 AVS에 의존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경제적 보안을 유지하는 데 따르는 문제에 대한 독창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AVS 노드의 운영자에게 인센티브를 조정함으로써 AVS는 어떤 규모의 경제적 보안을 구축할 지를 목표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신규 AVS와 Restaking 예치자가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경제적 인센티브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은 상당히 까다롭다. AVS를 활용한 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려면 강력한 경제적 보안이 필요하다. 이는 Sreeram Kannan이 제안한 Stakesure에서 처음 소개된 바와 같이 부정 행위에 대한 비용(Cost of Corruption, CoC)이 부정 행위로 인한 이익(Profit for Corruption)보다 클 때 달성되며, 이를 통해 악의적인 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 Anzen 프로토콜은 CoC가 PfC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Restaking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운영자들에게 주어지는 인센티브를 적극적으로 관리하여 이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Anzen 프로토콜의 가장 매력적인 장점 중 하나는 EigenLayer 위에서 운영되는 AVS에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Anzen 프로토콜은 인센티브를 실시간으로 자동 조정하여 지속적인 경제적 보안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Anzen 프로토콜은 포괄적인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AVS가 경제적 보안성의 변화를 예측하거나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Source: Anzen Dashboard
Anzen가 제공하는 기능으로는 '안전계수(Safety Factor, SF)' 지표가 있다. SF는 AVS의 보안이 위협받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의 이익과 Restaking 된 자본의 가치를 비교함으로써 AVS의 경제적 안전성을 평가한다. SF는 적절한 보안 수준을 유지하면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균형을 찾기 위한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Anzen 프로토콜은 AVS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EigenLayer의 보안과 탈중앙성의 장점을 활용한다. Anzen 프로토콜은 여러 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모듈은 특정 AVS의 SF를 계산하고 조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Anzen 프로토콜의 모듈에는 SF 계산 모듈, 프로토콜 클라이언트, 프로토콜 거버넌스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모듈이 함께 작동하며 경제적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Anzen 프로토콜은 또한 토큰의 유통 속도에 기반한 모델을 통해 운영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해당 모델은 작업 분배, 작업의 중요도, 유통 주기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토큰 분배 방식을 결정한다. 이는 프로토콜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면서 운영자에게 공정한 보상을 제공한다. 안전계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Anzen 프로토콜은 Reverse Dutch 경매와 같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인센티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경제적 안전성을 점진적이고 통제된 방식으로 회복시킨다. 이러한 접근법은 급격한 자금 고갈을 방지하고 프로토콜의 장기적 실행 가능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Source: Exocore Whitepaper
Exocore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흔히 발생하는 분산된 신뢰와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옴니체인 Restaking 프로토콜이다. Exocore는 특징적으로 단일 블록체인에 국한되지 않는 옴니체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여러 블록체인과 연동할 수 있어 다양한 네트워크 간의 보안을 통합할 수 있다. 이 기능은 특히 Exocore가 오프체인 서비스에 더 강력하고 다양화된 보안 기반을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Exocore가 제공하는 몇 가지 핵심 기능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다중 토큰 Restaking: L1 및 L2 블록체인의 네이티브 토큰,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 DeFi 유동성 제공자 토큰, 스테이블코인 및 기타 자산을 포함한 다양한 토큰을 지원한다. 다양한 토큰을 지원하는 포괄성은 오프체인 서비스를 보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더 넓은 자산 기반을 제공한다.
Trustless 브리징 및 ZK Light Client: Exocore는 ZK 증명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간에 안전하고 무신뢰형 브리징을 제공합니다. 해당 브리지는 클라이언트 체인의 상태 변화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검증한다.
AVS를 위한 통합 유연성: Exocore의 디자인은 다양한 오프체인 서비스가 쉽게 통합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 서비스는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무허가형(Permissionless) 통합 방식 또는 더 깊은 프로토콜 수준의 상호 작용을 위한 네이티브 모듈 통합 방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연합 Restaking: 연합(Union) Restaking 기능은 서로 다른 AVS가 자체 네이티브 토큰으로 연합을 형성하여 추가 비용 없이 보안을 통합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연합의 회원의 서비스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비용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구조적 측면에서 Exocore는 Tendermint 기반의 비잔틴 장애 허용(BFT) 합의 메커니즘과 EVM 호환 실행 환경을 갖춘 모듈식 설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보안, 속도 및 다양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과의 높은 호환성을 제공한다. Exocore는 블록체인 브리지, 오라클, 앱 체인, 분산형 RPC 네트워크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프체인 서비스의 보안을 강화함으로써 Exocore는 더 넓은 블록체인 생태계의 회복력과 기능성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Poolside는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LSTs) 및 수익 창출 자산을 위한 유동성 관리에 특화된 AMM 프로토콜이다. Poolside는 유동성 세분화를 도입하는 Constant Function Market Maker 중 하나로, 마켓 페어의 유동성을 활성 유동성(Pool)과 비활성 유동성(Reservoir) 로 구분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스테이킹 보상과 수익이 Reservoir에서 축적되도록 하면서 풀 내의 활성 유동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끔 한다. Poolside는 전통적인 AMM에서의 리베이스 토큰과 c토큰 방식이 가지는 한계점을 Reservoir를 도입해 보상과 수익의 축적을 구분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다. 이를 통해 자산의 정확한 가격 책정을 유지하고 유동성 제공자들에게 수수료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Source: Poolside - Core Concepts
Reservoir는 각 토큰 쌍에 대한 비활성 유동성에 해당하는 추가 토큰 가치를 의미한다. 가치를 축적하는 토큰의 가치가 상승할 때, 그 추가 가치는 활성 풀이 아닌 Reservoir에 축적된다. Reservoir는 스테이킹 보상이나 수익을 축적하여 이러한 이득이 차익 거래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활성 유동성 풀에서 정확한 가격을 유지하게끔 한다. Poolside 내에서 Rebase 토큰, 예를 들어 stETH와 같은 토큰은 보상이나 가치 변화를 반영하여 공급량을 조정한다. 이러한 조정은 활성 유동성 풀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Reservoir에서 처리되어 유동성 제공자의 가치를 보존하고 안정적인 가격 역학을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Poolside는 공급량이 고정된 토큰을 위한 Wrapper를 구현하여 리베이싱 방식이 아닌 토큰을 Poolside의 Reservior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단일 측면(Single-side) 유동성과 Reservoir 가드레일은 Poolside 플랫폼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이다. 이들은 유동성 제공자가 한 쪽에서만 유동성을 추가하여 풀과 Reservoir를 재조정할 수 있게끔 한다. 프로토콜의 공정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Poolside는 시간 가중 평균 가격(TWAP), 변동성 회로 차단기, Reservoir 조절과 같은 여러 안전장치를 적용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고 조작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며 Reservoir와 유동성 풀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기능하도록 한다.
리스테이킹의 개념은 비단 이더리움 관련 생태계에만 국한될 필요가 없다. 리스테이킹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더리움 생태계를 넘어서 확장된 사례는 많지 않다. 그러나 이더리움 이외의 체인에서의 리스테이킹은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나 솔라나는 현재 막대한 양의 스테이킹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많은 주요 스테이킹 프로토콜들이 이미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LSTs)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의 원래 자산이 스테이킹된 상태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Picasso 네트워크는 솔라나 <> IBC 체인 간 연결을 통해 솔라나에서의 리스테이킹 기능을 제공한다. 솔라나와 IBC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들은 SOL, mSOL, jitoSOL 등 다양한 LST 토큰을 스테이킹할 수 있다. 이 토큰들은 솔라나 <> IBC 연결의 검증자들과 함께 스테이킹되어 사용자들의 수익과 네트워크의 보안을 모두 강화하는 데 이용된다.
Source: Composible Finance Github
피카소 네트워크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게스트 블록체인' 개념이다. 게스트 블록체인은 본질적으로 기본 블록체인(이 경우 솔라나) 위에 존재하는 레이어로, 기본 블록체인이 자체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적용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는 Picasso 네트워크와 같이 IBC 프로토콜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되어, 이외에도 크로스체인 브릿징 등을 가능하게 한다.
Picasso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는 IBC와 솔라나와 같이 기존에 호환되지 않는 블록체인 간 통합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 되었다. 게스트 블록체인의 검증자들은 블록을 생성하고 다른 체인에 상태 증명을 전달하여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의 정보 전달과 자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게스트 블록체인에서 도입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증금(Bonding) 및 검증자(Validator) 역학: 네트워크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게스트 블록체인의 검증자들은 보증금을 예치해야 합니다. 이 메커니즘은 검증자의 악의적인 활동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검증 과정에 적극적인 참여를 보장합니다.
슬래싱 및 감옥 프로토콜: 검증자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게스트 블록체인은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검증자에 대한 슬래싱 메커니즘을 도입했다. 심각한 보안 위반을 저지른 경우에는 네트워크의 강건함을 유지하기 위해 감옥 프로토콜이 시행된다.
어부(Fisherman): 게스트 블록체인의 독특한 특징은 "어부(Fisherman)"라는 역할로, 검증자의 행동을 모니터링하고 악의적인 행동을 보고하는 책임을 가진 주체를 의미한다. 이 추가적인 감시자는 네트워크의 보안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글의 비주얼을 제공해주신 Kate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