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FP Research
    코멘트
    이슈
    아티클
    리포트
    FP Validated
    회사 소개
    X텔레그램뉴스레터
    로그인
    logo
    FP Research
    코멘트이슈아티클리포트
    Validator
    FP Validated
    소셜
    X (KR)X (EN)텔레그램 (KR)텔레그램 (EN)링크드인
    회사
    회사 소개
    문의
    Support@4pillars.io
    정책
    서비스 약관개인정보처리방침

    [ASC 스포트라이트] 플룸 네트워크: 풀스택 RWA 솔루션

    2025년 9월 24일 · 8분 분량
    Issue thumbnail
    100y profile100yAsiaStablecoinAlliance profileAsiaStablecoinAllianceMoyed profileMoyed
    linked-in-logox-logo
    InfraStablecoin
    linked-in-logox-logo

    0. ASC 스포트라이트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얼라이언스(Asia Stablecoin Alliance)가 이번 해 9월 25일에 포필러스(Four Pillars), 레이어제로(LayerZero) 및 전 세계의 스테이블코인 리더들과 함께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컨퍼런스(Asia Stablecoin Conference, ASC)를 개최합니다. ASC 스포트라이트 컨텐츠는 참가자들이 ASC 행사에 진정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ASC 행사에 후원한 기업들을 사전에 조명하고, 이들이 아시아 시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담는 컨텐츠입니다.

    • ASC 스폰서: Pharos (Title), Ant Digital Tecnhologies (Title), Canton, Ethena, Kiln, Plume, Rialo, Securitize

    • ASC 참여자: Ant Digital Tecnhologies, Avalanche, Bybit, Canton, Ethena, Ethereum Foundation, Four Pillars, Frax, Grove, IDRX, Japan Smart Chain, Kiln, Lambda256, Layer Zero, Mantle, Maple, Neutrl, Pharos, Plume, RedStone, Rialo, Securitize, Sky, Solana, Spark, Stable, Stargate, Sumimoto, Theo, UR Bank, Wyoming Stable Token Commission

    ASC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 ASC 웹사이트: https://conference.asiastable.org/

    • ASC 참가신청: https://luma.com/la44fa6d

    1. 들어가며

    실물자산(RWA)의 토큰화는 여러 이해관계자가 얽힌 복잡한 과정이다. 발행자는 상품을 법적으로 구조화해야 하고, 수탁기관이나 은행은 담보를 안전하게 보관해야 한다. 규제 기관은 지속적인 감사 가능성을 요구하며, 투자자는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투자 경로와 유동성을 기대한다.

    그동안 블록체인 업계의 시도들은 이 긴 서플라이 체인의 일부만 다뤄왔다. 어떤 팀은 발행 플랫폼에만 집중했고, 또 어떤 팀은 수탁 연동에 치중했으며, 일부는 DeFi 볼트 설계에 집중했다.

    이런 단편적인 접근 방식은 발행자가 여러 벤더를 직접 연결해야 하는 부담을 남기고, 결과적으로 도입 속도를 늦추고 규제 리스크를 키우게 된다.

    2. Plume 오버뷰

    Plume는 2023년에 설립되었으며 2024년 중반 “Plume Genesis” 메인넷 론칭을 통해 출범했다. Plume는 RWA 분야에서 나타나는 파편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발했다. 단일 요소를 제공하는 대신, Plume는 컴플라이언스 중심 블록체인, 토큰화 엔진, 오라클 인프라까지 아우르는 풀스택(vertical stack)을 제공한다.

    2025년 중반 기준, Plume는 22만 개 이상의 지갑을 확보했고, 1억7천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토큰화했으며, Superstate와 Mercado Bitcoin 같은 파트너와 통합했다. Plume의 명확한 가설은 다음과 같은데, 이는 대규모 토큰화는 발행, 컴플라이언스, 데이터, 그리고 수익률이 네이티브하게 내장된 인프라 위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2.1 핵심 구성 요소

    • Plume Network: Ethereum 보안성과 기관급 컴플라이언스를 결합한, 시퀀서 수준 AML 스크리닝을 내장한 EVM 호환 블록체인

    • Plume Portal: 발행자와 투자자가 자산 관리, KYC/KYB, 자산 브리징, 포트폴리오 추적을 할 수 있는 대시보드

    • Arc: 국채, 사모 신용 같은 자산에 대해 규제 준수 규칙을 스마트컨트랙트에 직접 내장하는 노코드 토큰화 엔진

    • pUSD: USDC 및 USD1로 1:1 담보되는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 Plume 전역의 결제 및 거래 통화

    • pETH: 스테이킹 보상을 축적하면서 담보나 수익 전략에 활용 가능한 ETH 기반 유동 스테이킹 토큰

    • Nest: 국채, 사모 신용 같은 RWA 볼트를 기관 수준의 보호장치와 함께 제공하는 수익 마켓플레이스

    • Nexus: 금리, 준비금, 컴플라이언스 리스트 같은 현실 데이터를 온체인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오라클

    • Skylink: LayerZero를 통해 Plume의 수익과 토큰 상태를 18개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에 미러링하는 크로스체인 프로토콜

    2.2 메커니즘

    예시로써 Aurora Credit Fund라는 특수목적법인(SPV)이 담보대출 풀을 토큰화하는 과정을 보자. 아래는 발행자와 투자자 관점의 흐름이다.

    발행자: Aurora Credit Fund

    1. Arc 온보딩: 펀드 매니저는 Arc에서 대출 풀, 관할권, 투자자 자격, 락업 조건을 정의한다. Arc는 Fractal, Sumsub 같은 ID 제공업체와 연동해 KYC/AML을 수행한 후, 규제 준수 로직이 내장된 토큰 계약을 생성한다.

    2. 프론트엔드 배포: Arc는 자격 요건을 충족한 지갑만 구매(subscribe)할 수 있는 프론트엔드를 배포한다. 구매는 Plume에서 정산되며, 토큰은 내장된 컴플라이언스 로직에 의해 관리된다.

    3. 운영: 이자 지급, 채무불이행 같은 성과 데이터는 Nexus를 통해 스트리밍된다. 쿠폰은 pUSD로 분배되며, Arc는 2차 시장 전송 규칙을 자동으로 집행한다.

    4. 호환성: Aurora의 토큰은 Nest 볼트 담보로 승인되거나 대출 시장과 통합될 수 있어, 투자자가 차입, 레버리지, 구조화 포지션을 구축할 수 있다.

    투자자: 앨리스, 리스크 회피형

    1. Portal 로그인: Alice는 Plume Portal에 지갑으로 로그인한다. Portal은 Alice의 적격투자자 여부를 검증하고 Aurora, 국채 볼트 등 참여 가능한 투자 자산을 보여준다.

    2. 달러 브릿징: Alice는 USDC를 Plume으로 브릿지한다. 브릿지는 1:1 비율로 pUSD를 발행해, Alice에게 투자 가능한 네이티브 통화를 제공한다.

    3. Nest 예치: Alice는 pUSD를 Aurora Credit Fund 볼트에 예치한다. 볼트 토큰은 전략의 지분을 나타내며 자동으로 pUSD 수익을 축적한다.

    4. 유동성 관리: Alice는 볼트 토큰을 pUSD로 상환하거나, 다른 자산으로 스왑하거나, 담보 대출에 활용할 수 있다. pETH를 보유하고 있다면, ETH 스테이킹 수익을 Aurora 사모 신용 수익 위에 추가할 수도 있다.

    3. 고유 기능들

    3.1 시퀀서 레벨의 AML 스크리닝

    Source: Plume

    Plume는 규제 준수 기능을 프로토콜 자체에 직접 내장했다. 이 덕분에 Plume는 퍼미션리스 블록체인 가운데 유일하게 시퀀서 수준에서 실시간 AML(자금세탁방지) 스크리닝을 수행한다. 모든 거래는 블록에 포함되기 전에 제재 및 AML 기준을 거쳐 검증된다.

    모든 거래는 Plume의 커스텀 RPC를 통해 Forta Firewall과 연결되며, 여기서 실시간 분석이 진행된다. Forta는 거래를 시뮬레이션하고 연관된 모든 주소를 추출한 뒤, OFAC SDN 같은 글로벌 제재 리스트와 대조한다. 만약 특정 주소가 적발되면 해당 거래는 시퀀서에 도달하기도 전에 차단된다.

    예를 들어, 제재 지갑에서 USDC를 브릿징해 들어오려는 사용자는 pUSD를 발행하지 못하게 막히며, 불법 자금이 유입되는 순간을 차단할 수 있다.

    Plume는 TRM Labs, Chainalysis, Elliptic과의 연동을 통해 네트워크 모니터링도 수행한다. 이 시스템들은 다크넷 연계 흐름이나 잠재적인 세탁 패턴을 추적한뒤, 추가적인 인텔리전스를 제공해 법 집행기관 통보나 컨트랙트 단위의 제재 같은 조치를 지원한다.

    3.2 Nexus & Skylink: 데이터 연결을 위한 오라클 시스템

    Nexus와 Skylink는 함께 동작한다고 볼 수 있다. Nexus는 외부 데이터를 Plume 안으로 들여와 토큰이 바깥 세상과 동기화되도록 보장한다. Skylink는 반대로 수익을 바깥으로 흘려보내 여러 블록체인으로 확산시킨다. 두 시스템이 결합하면서 Plume는 데이터가 풍부하고 상호운용적인 네트워크가 되며, 이는 실물금융을 온체인으로 확장하는 데 필수적인 특성이다.

    Nexus: 데이터 고속도로

    Nexus는 Plume에 통합된 오라클 시스템으로, 온체인 컨트랙트에 신뢰할 수 있는 외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스마트컨트랙트는 종종 국채 금리, CPI, 준비금 증명, KYC 승인 같은 정보를 참조할 필요가 있는데, Nexus는 이를 네이티브하게 지원하며 개발자가 온체인에서 직접 질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시스템은 탈중앙 오라클 네트워크와 수탁기관·평가사 같은 허가형 제공자로부터 피드를 수집한다. 노드 운영자는 오프체인 소스를 구독하고 검증된 업데이트를 Nexus에 게시한다. 이를 통해 토큰화된 국채가 기준 금리를 반영하고, 사모 신용 펀드가 NAV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며, 규제 레지스트리가 최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Nexus는 핵심 데이터 업데이트를 위해 블록 공간을 예약해두어, 네트워크 혼잡 시에도 피드가 적시에 반영된다.

    Skylink: 크로스체인 수익 프로토콜

    Nexus가 정보를 가져온다면, Skylink는 수익을 외부로 내보낸다. Skylink는 LayerZero의 옴니체인 메시징과 SyncPool 아키텍처 위에 구축됐다. Plume의 볼트에서 발생한 수익을 다른 체인에 YieldToken 형태로 미러링하는데, 이 토큰은 Plume에 보관된 자산에 대한 청구권을 나타낸다. 원본 자산은 Plume에서 규제 통제를 받으며 안전하게 보관되고, 외부 네트워크에서 미러된 토큰이 현지에서 수익을 적립한다.

    예를 들어 Tron 사용자는 Tron에서 미러된 국채 볼트 토큰을 발행해 Plume에 직접 예치한 것과 동일한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자본을 실제로 체인 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 모델은 자산 보관을 유지하고, 연결된 네트워크 전반에서 Plume의 규제 기준을 강제하며, 토큰화 수익의 도달 범위를 크게 확장한다. 2025년 중반 기준, Skylink는 Solana, Tron, Injective, Omni, ZkSync를 포함한 16개 이상의 네트워크에서 운영됐다. 특히 Tron 통합은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커뮤니티 중 하나에 접근을 열어, 수백만 사용자가 기존 환경 안에서 규제된 국채 수익을 직접 누릴 수 있게 했다.

    3.3 Nest: 토큰화된 RWA를 위한 DeFi

    Nest는 실물 자산 수익에 연결된 DeFi 인터페이스다. 국채, 사모 신용, 부동산, 구조화 전략 같은 토큰화 자산을 온체인 볼트로 바꾸고, 사용자가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하면 지갑에서 직접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한다. 각 볼트는 전문 발행자가 관리하며, 수익은 가치가 오르는 볼트 토큰 형태로 누적된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순하게 설계됐지만, 트랜칭(tranching), 상환 창구, 규제된 수탁 등 기관급 보호장치로 안전성이 담보된다.

    출시 당시 Nest는 세 가지 핵심 볼트를 선보였다.

    • Treasuries Vault(nTBILL): 단기 미국 국채에 집중, 머니마켓형 안전 상품 제공

    • RWA Flagship Vault(Alpha Vault의 전신): Blackstone, Carlyle, Pimco 등 매니저가 운용하는 사모 신용·부동산 부채에 분산 투자해, 높은 수익률과 신용 리스크를 균형 있게 제공

    • High Yield Vault: RWA와 staked ETH, 유동성 공급 같은 크립토 네이티브 전략을 혼합해,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되 변동성도 수반

    이후 Nest는 다음과 같이 확장됐다.

    • Alpha Vault (nALPHA): 신용, ETF, 원자재에 분산 노출

    • Basis Vault (nBASIS): 스테이블 담보를 기반으로 파생상품이나 토큰화 국채를 결합한 델타-중립 전략

    • ETF Vault (nETF): 기관급 ETF와 담보부 채권 상품에 온체인 접근

    • PayFi Vault (nPAYFI): 매출채권·인보이스 파이낸싱에 초점을 둔 핀테크 기반 전략, 현금흐름 담보 수익에 노출 제공

    Nest는 Plume의 수익 레이어로, DeFi 유동성을 기관 전략과 연결해준다. 안전한 국채부터 높은 수익률의 사모 신용·핀테크 채권까지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며, 발행자에게는 즉각적인 수요와 유동성을 공급한다.

    볼트 토큰은 DeFi 전반에서 담보나 구조화 상품으로 재사용될 수 있어 호환성도 뛰어나다. 투자자에게 Nest는 지속 가능한 수익으로 들어가는 가장 손쉬운 관문이며, 발행자에게는 토큰화 자산에 즉각적인 시장을 제공한다.

    4. 팀과의 Q&A

    4.1 Plume는 아시아 지역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보고 있나요?

    아시아는 Plume의 핵심 전략 지역이다. 우리의 목표는 미국에서 검증된 RWA 전략을 아시아 시장에 맞게 재현·적용하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주요 자산 발행사·유통사와 파트너십을 맺었고, SEC와 직접 협력하며 실제 RWAfi 시장을 탐색했다. 즉, 온체인 RWA를 DeFi 조합성과 결합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우리는 이미 아시아에서 상당한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고 있으며, 전담 지역 팀도 운영 중이다. 홍콩과 한국 같은 시장은 스테이블코인과 RWA 규제 프레임워크를 빠르게 정립하고 있다. 우리는 아시아 기반 자산을 온체인에서 성공적으로 토큰화한 경험이 있으며, 지역의 다양한 RWAfi 빌더 네트워크와 협력하고 있다.

    4.2 Plume는 현재 아시아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계획이 있나요?

    1. 홍콩 정부와 협력해 Digital Asset 2.0 정책을 계기로 RWA 홍보 로드쇼 진행

    2. 싱가포르·홍콩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은 아시아 기반 자산 토큰화(CMBI MMF, UBS 상품을 DigiFT를 통해 발행)

    3. 아시아 기반 자산의 토큰화 범위를 확대

    4. 현지 유통사와 추가 파트너십을 맺어 시장 침투력 강화

    4.3 Plume가 아시아에서 사업을 확장하며 직면하거나 예상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규제 환경이 여전히 단편적이다. 관할 지역마다 정책 기준이 달라, 예컨대 싱가포르의 MAS, 미국의 SEC, 홍콩의 SFC는 각각 독자적인 프레임워크를 유지한다. 특히 동남아시아는 국가별로 규제와 우선순위가 제각각이라 복잡성이 더해진다.

    또한 시장 인식 제고와 교육이 필요하다. 많은 이해관계자가 여전히 기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예를 들어 토큰화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어떤 자산이 토큰화 가능한지, 절차가 무엇인지 등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4.4 Plume가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연합(ASA)에서 기대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1. 아시아 전역에서 새로운 파트너십과 통합을 추진

    2. 지역 정책 발전에 대한 인사이트 확보

    3. 규제 당국과의 직접적인 대화 채널 확보

    4. 특히 홍콩과 한국에서 핵심 규제 샌드박스 프로그램에 참여

    5. 결론

    Plume는 이제 가장 완성도 높은 RWA 네트워크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강점은 통합성에 있다: 토큰화를 위한 Arc, 유동성을 위한 pUSD와 pETH, 사용자 경험을 위한 Portal, 수익 창출을 위한 Nest, 데이터를 위한 Nexus, 유통을 위한 Skylink, 그리고 규제 준수를 위한 시퀀서 수준 AML이 긴밀히 연결돼 있다. 발행자에게는 여러 벤더를 따로 쓸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생기고, 투자자에게는 유동성과 수익을 갖춘 규제된 실물자산에 단일 접근 지점을 제공한다.

    최신 이슈
    ALT DAT 시즌은 끝났을까?
    12시간 전

    ALT DAT 시즌은 끝났을까?

    author
    100y
    초개인화 시대에 베팅하는 Anime.com
    4일 전

    초개인화 시대에 베팅하는 Anime.com

    author
    Ponyo
    스트라타, 펜들의 뒤를 이을 수 있을까?
    10일 전

    스트라타, 펜들의 뒤를 이을 수 있을까?

    author
    100y
    가입하고 무료 뉴스레터 구독
    최신 크립토 산업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로그인

    관련 아티클

    내년에 떠오를 주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Article thumbnail
    26 분 분량2025년 7월 24일

    스테이블: USDT의, USDT에 의한, USDT를 위한 디지털 국가

    Infra
    DeFi
    Stablecoin
    StableStable
    author
    100y
    Article thumbnail
    23 분 분량2025년 4월 11일

    아시아 스테이블코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호운용성이 필수적이다

    Infra
    Market
    Stablecoin
    LayerZeroLayerZero
    author
    Heechang
    Article thumbnail
    22 분 분량2025년 10월 17일

    모나드 메인넷 출시, 어떤 디앱을 눈여겨봐야할까?

    Infra
    Consumer
    MonadMonad
    author
    100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