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Bankless 12.19 Ryan Selkis Shares His 2024 Crypto Predictions
본 팟캐스트에서는 2024년 암호화폐 시장 전망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메사리의 CEO 라이언 셀키스는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면 대형 기관들이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을 판매하려고 하면서 관리 자산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이더리움은 솔라나 같은 알트 네트워크가 주목을 받으면서 시장 지배력에 도전받을 것이라 예측했다. 셀키스는 자산의 롱테일보다는 잘 알려진 암호화폐에 집중 투자할 것을 권장하며, 작은 프로젝트 시장에 휩쓸리지 말 것을 경고했다.
이 논의에서는 규제 문제도 다루었다. 셀키스는 민주당 행정부 하에서 엘리자베스 워런과 같은 인물이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규제가 불리해지면 암호화폐 기업가들이 해외로 이주할 수 있기에 올바른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셀키스는 지캐시(Z-Cash)와 같은 프라이버시 보호 암호화폐의 발전에 대해 논의했지만, 규제 당국의 우호적인 승인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전반적으로 셀키스는 정책과 블록체인 플랫폼 간의 경쟁으로 인한 잠재적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성장이 우세할 것이라며 장기적인 암호화폐 채택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유지했다. 또한 이 에피소드는 향후 2년간 예상되는 투자 동향과 업계 발전에 대해 얘기를 나누어 투자 관점의 인사이트가 많았다.
Source: [Coinbase Institution 12.20] 2024 Crypto Forecast
이 팟캐스트에서는 2024년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다양한 예측에 대해 논의되었다. 2023년과 2024년 전망의 차이점을 강조하며, 거시경제 상황과 규제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모듈러 블록체인 접근 방식과 모놀리식 접근 방식, 블록체인의 데이터 가용성, 이더리움 업그레이드 등의 인프라 이슈와 더불어 암호화폐 ETF의 잠재력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블록체인의 기술 아키텍처, 다양한 암호화폐 투자 옵션, 상장 파생상품에 대한 검토에 관한 논쟁도 다루었다.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과 소셜파이와 같은 새로운 개념에 대해서도 다루며 많은 주제들에 대해 되돌아 보는 논의를 통해 2024년에는 많은 변화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Source: [Bankless 12.12] VanEck’s 2024 Crypto Predictions with Matthew Sigel
Vaneck의 매튜 시겔은 2024년이 암호화폐에 있어 큰 해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비트코인은 미국 대선 이후 규제 변화로 인해 4분기에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되며다 이더리움은 주식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겠지만 비트코인에 이어 2위를 유지할 것이라 주장했다. 또한 이더리움 레이어 2 솔루션은 상당한 성장세를 보이며 총 가치 고정 및 거래량을 주도하게 될 것아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NFT 활동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 밝혔다. 그리고 스테이블 코인 관련해서는 USDC가 테더로부터 시장 점유율을 되찾으면서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2,000억 달러를 넘어설 수 있을거라 예측했다.
탈중앙화 거래소는 솔라나와 같은 빠른 블록체인으로 인해 현물 거래의 점유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바이낸스는 OKEx와 코인베이스 같은 중앙화 거래소는 탈중앙화 거래소에 대비해야한다고 밝혔다. 비트코인 스테이킹은 새로운 기술을 통해 더욱 대중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기업이 암호화폐 보유를 회계 처리하기 시작할 수 있고, 신원 확인을 활용하는 규정을 준수하는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할 수 있다 밝혔다.
Source: [Bankless 12.11] 200 - Vitalik Buterin's Philosophy: d/acc
이 팟캐스트에서는 이더리움의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과 함께 기술에 대한 그의 철학과 사회적 영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대담에서는 AI, 암호화폐, d/acc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비탈릭은 암호화폐를 넘어선 폭넓은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AI의 잠재적 위험과 이점을 강조합며 그는 기술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철학으로서 분산원장기술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또한 기후 변화와 권위주의적 오용 등 기술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와 함께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낙관적 견해를 밝히며 이러한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탈중앙화된 접근법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기술의 위험에 맞서기 위한 수단으로 d/acc 철학을 소개하는 한편, 인류의 삶을 개선하고 글로벌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역량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표명하였다.
Source: Bankless 12.25 202 - The Year of the Crypto ETF with Cathie Wood
이 팟캐스트 에피소드에서는 아크 인베스트의 CEO 겸 CIO인 캐시 우드와 21셰어즈의 공동 창립자 겸 사장인 오필리아 스나이더가 두 기관의 ETF 상품 등록을 위한 파트너십과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전통 금융 접근성을 부여하는 데 있어 ETF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자료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암호화폐 산업에서 ETF의 중요성:
ETF는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과 온체인 인프라 사이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암호화폐의 기술적 측면에 익숙하지 않은 개인과 기관에게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ETF는 위험 단위당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암호화폐를 기존 금융 인프라에 통합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
사용자 친화적인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해 많은 개인과 기관의 진입 장벽이 여전히 존재한다.
미국과 유럽 간 규제 환경의 차이로 인해 미국에서는 ETP 상품이 부족하다.
미국 정부 기관과 기관의 참여에 대한 고무적인 신호는 암호화폐의 정상화를 암시한다.
이러한 논의는 암호화폐 산업에서 ETF의 중요성, 암호화폐를 기존 금융 시스템에 통합하는 데 있어 장애물, ETF 승인이 기관 암호화폐 투자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조명한다. 규정 준수 검토로 인해 초기에는 채택 속도가 느려질 수 있지만, 투자 금액이 커지면 암호화폐 시장이 크게 성장할 수 있다. ETF는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분산하는 데 도움이 되며, 암호화폐는 기관에서 새로운 자산 클래스로 인식되고 있기에 이의 승인은 기관 투자자들의 신뢰를 높이고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다.
Source: Lightspeed 12.14 Andre Cronje Unfiltered: The Founder of Yearn, Keeper Network and Fantom
안드레 크론제는 여러 유명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설립하게 된 배경과 작업에 대해 이야기했다. 크론제는 초기 ICO 시대에 업계에서 코딩을 시작했고, 많은 프로젝트가 주장에 대한 증거가 부족한 것을 목격했다. 이후 이더리움에 구축된 대출 프로토콜의 이자율을 집계하는 Yearn Finance 설립했다. 또한 크론제는 공통 동시 지식이라는 새로운 합의 메커니즘과 이더리움 바이트코드와 호환되는 토스카라는 새로운 가상 머신을 활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인 팬텀(Fantom) 개발에도 참여했다.
인터뷰에서 크론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확장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그는 이더리움이 확장을 위해 레이어 2 솔루션에 의존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크론제는 이더리움의 경쟁자들이 더 큰 혁신과 위험 감수를 통해 이더리움을 능가하고 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그는 인센티브와 이벤트를 포함한 팬텀의 개발자 중심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설명했으며 사용자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장기적인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암호화폐 분야의 규제와 정부 기관과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전반적으로 이 팟캐스트에서는 블록체인 분야에서 크론제의 인사이트와 업계의 도전과 기회에 대한 그의 관점을 제공했다.
Source: [On the Brink 12.11] Rowan Stone (Coinbase) on Bringing Offchain Users Onchain
이 팟캐스트에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서 진행 중인 소송과 관련하여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인 크라켄이 직면한 법적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SEC는 크라켄이 적절한 등록 없이 자사 플랫폼에서 증권 거래를 허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크라켄의 CEO는 SEC의 소송 전략에 불만을 표하며, 소송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으며, PR보다는 규제 절차에 참여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크라켄은 이전 사건에 대해 합의한 적이 있지만, 현재 제기된 혐의에 대해 법정에서 싸우기로 결정했다.
크라켄은 국제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불리한 규제가 부과될 경우 미국 시장 철수를 고려할 수 있다. 크라켄은 보안과 고객 보호를 최우선 순위로 강조하며 크라켄은 금융 상품을 뒷받침하는 벤치마킹과 지수 생성에도 관여하고 있다. 앞으로 크라켄은 개인 및 기관 투자자를 위한 서비스를 확대하는 한편, 수탁 디지털 자산의 보호를 위해 보안 조치와 기술 역량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이 인터뷰를 통해 법적 분쟁에 대한 크라켄의 관점과 서비스, 규제, 향후 전략 방향에 관한 우선순위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Source: [On the Brink 12.11] Rowan Stone (Coinbase) on Bringing Offchain Users Onchain
본 팟캐스트 인터뷰에서는 코인베이스의 야심찬 레이어 2 확장 솔루션인 베이스에 대해 논의했다. 베이스는 저렴한 거래 비용과 안정적인 인프라를 제공하여 개발자와 사용자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베이스는 소셜 네트워크와 탈중앙화 금융 프로토콜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주목받고 있는 범용 레이어 2 플랫폼이다. 코인베이스는 원활한 온체인 및 오프체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Base는 MPC 및 계정 추상화와 같은 기술에 대해 옵티미즘과 협력하고 있다.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다중 서명자 그룹을 구축하여 탈중앙화를 위한 베이스의 로드맵도 논의되었다. 코인베이스의 역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뮤니티 참여를 목표로 배포 및 개발하는 것이다. 크리에이터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새로운 사용자를 레이어 2 네트워크로 끌어들일 수 있는 잠재력에 주목했다. 온체인 서머와 같은 이니셔티브는 실제 사용 사례를 보여주고 암호화폐 규제의 필요성을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더리움 확장에 있어 베이스의 위치와 상호 운용 가능한 레이어 2 생태계에 대한 비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사이트가 제공되었다.
Source: [Lightspeed 12.19] Taproot Wizards: Hot to Solve Bitcoin's Branding Problem | Udi Wertheimer
이 팟캐스트는 비트코인의 브랜딩 문제와 주류 채택을 위해 비트코인을 더 잘 포지셔닝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비트코인은 암호화폐의 토대를 마련했지만, 최신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네이티브 토큰 추적과 같은 기능이 부족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트코인 보유자는 다른 암호화폐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Taproot Wizards나 대체 불가능한 토큰과 같이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는 비트코인의 창의성 잠재력을 강조하고 보다 낙관적인 비전을 보여줌으로써 네러티브를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롤업과 같은 레이어 2 솔루션은 비트코인의 핵심 아키텍처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기능을 향상시켜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으로 논의되기도 했습니다.
추가 논의에서는 비트코인이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 수 있을지 살펴봤다. 비트코인이 탈중앙 금융과 대체 불가능한 토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부유층을 위한 사치스러운 놀이터로 기능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온체인 거래량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될 수 있지만, 비트코인에 고정된 가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적으로는 자산을 소유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데에만 집중하는 대부분의 사용자에게는 다양한 블록체인의 복잡성이 추상화될 수 있다. 비트코인의 금융화는 금이 교환 수단이 아닌 투자 수단으로 취급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이더리움, 솔라나, 바이낸스와 같은 다른 생태계도 인정되었지만, 특정 네트워크의 자기 관리와 채택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스토리텔링이 강조되었다.
Source: [Empire, 12.05] What's Next for the Cosmos Appchain Thesis? | Ethan Buchman and Sam Hart
코스모스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간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안전하게 상호 운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별 블록체인, 즉 앱체인을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 아키텍처는 수직적 통합과 크로스체인 운영성과 같은 강력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코스모스는 조직 변화와 일관된 마케팅의 부재로 인해 광범위한 채택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하지만 이더리움과 같은 프로젝트가 코스모스의 기술을 통합하고 있으며, 특히 IBC 프로토콜은 모든 블록체인이 코스모스 생태계에 연결될 수 있게 해준다.
개발을 위해 블록체인 플랫폼을 평가할 때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요구사항, 사용 사례, 커뮤니티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코스모스는 일반화된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옵션이 더 적합할 수 있다. 거버넌스를 구성하고 새로운 앱 체인을 대규모로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중요한 미해결 과제가 남아 있다. 코스모스 내의 새로운 프로젝트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보다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시스템을 통해 결제 청산과 결제를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 팟캐스트 에피소드에서는 Avalanche의 공동 창립자인 케빈 세키니와 엔지니어링 VP인 패트릭 오그래디가 Avalanche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기술적 측면, 장점, 장단점,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이들은 사용자가 생성한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빠르고 고도로 최적화된 체인에 초점을 맞춰 Avalanche의 아키텍처에 대해 설명했다. 이들은 상호 운용성을 위한 메타데이터 체인으로서 P-Chain의 역할, 스마트 컨트랙트 체인으로서 C-Chain, 서브넷 간의 원활한 통신에 대해 강조했다.
또한, 두 플랫폼 간의 최적화, 주권(Sovereignty), 보안, 비용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면서 아발란체와 코스모스를 비교했다. 또한, 레이어 2 솔루션과 서브넷 간의 경제적 장단점, 아발란치에서 서브넷을 실행할 때의 장점과 단점, 서브넷의 비전을 살펴보며 블록체인 기술에서 커스터마이징, 효율성, 상호운용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자산 전송을 위한 워프 프로토콜, 맞춤형 블록체인 구축을 위한 하이퍼 SDK, 후지 테스트넷에서의 워프 출시 등 아발란치의 기술적 측면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개발자와 기관의 특정 요구에 부응하는 편견 없고 효율적인 블록체인 인프라를 강조하는 한편, 전반적인 블록체인 산업, 다양한 기술의 인기, 블록체인 엔지니어링,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대량 채택의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조명하는 등 Avalanche의 가치 제안이 강조되었다.
트위터, 디스코드, 미디엄, 팟캐스트 등 수천 개의 Web3 소스에서 주제 및 내러티브를 쉽게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다. 또한 Kaito는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된 AI와 대화를 하며 많은 정보들을 쉽게 소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 글의 비주얼을 제공해주신 Kate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