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FP Research
    코멘트
    이슈
    아티클
    리포트
    FP Validated
    회사 소개
    X텔레그램뉴스레터
    로그인
    logo
    FP Research
    코멘트이슈아티클리포트
    Validator
    FP Validated
    소셜
    X (KR)X (EN)텔레그램 (KR)텔레그램 (EN)링크드인
    회사
    회사 소개
    문의
    Support@4pillars.io
    정책
    서비스 약관개인정보처리방침

    스트라이프: 7줄의 코드에서 템포까지

    2025년 10월 22일 · 10분 분량
    Issue thumbnail
    100y profile100yAsiaStablecoinAlliance profileAsiaStablecoinAlliance
    linked-in-logox-logo
    StablecoinInfraGeneral
    linked-in-logox-logo

    Key Takeaways

    • 7줄의 코드는 스트라이프를 상징하는 키워드로, 스트라이프는 기업이 몇 줄 안되는 코드로 온라인 결제를 쉽게 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라인 결제 시장을 혁신하였다.

    • 스트라이프는 최근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되어 공격적인 인수 합병, 서비스 확장의 행보를 보여주었다. 특히 패러다임과 함께 개발하고 있는 템포 네트워크는 최근 $500M의 투자를 유치하며 모두를 놀라게 했다.

    • 스트라이프의 스테이블코인 친화적인 행보는 결제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다. 레거시 금융에서 스트라이프는 PSP 기업으로서 결제 프로세스에서 부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면,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장에서 스트라이프는 발급 은행, 카드 네트워크, 매입 은행 모든 핵심 역할을 다 담당할 수 있다.

    • 우리는 모두 금융활동을 잘 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ACH, SEPA, SWIFT, VisaNet, RTGS와 같은 금융망들이 뭔지도 모른다. 스트라이프는 템포를 비롯한 블록체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결제의 매스어돕션을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며, 만약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메인이되는 세상이 온다면 그 중심에는 스트라이프가 있을 것이다.

    1. 스트라이프의 과거와 오늘

    1.1 단 7줄의 코드가 가져온 마법

    Source: Stripe, Wayback Machine

    위 스크린샷은 2011년 스트라이프(Stripe) 웹사이트에 나와있던 9줄의 예시 코드이다. 일부 선택적 옵션을 빼면 개발자들은 단 7줄의 코드로 스트라이프 API를 호출하여 자신의 프로덕트에 결제 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던 것이다. (현재는 다양한 언어로 더 짧은 줄의 코드로도 가장 기본적인 API 호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스트라이프 등장 이전의 온라인 결제 인프라에는 여러 제약과 불편이 많았다. 온라인에서 신용카드 결제를 받기 위해서는 가맹점용 은행 계좌를 따로 신청해야 했으며, 승인에만 몇 주~몇 달이 소요되었다. 물론 스트라이프 이전에 페이팔(PayPal)이 존재하긴 했으나, 스트라이프는 페이팔보다 훨씬 더 개발자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온라인에서 기업이 쉽게 돈을 결제받을 수 있게 해주는 경험 자체를 혁신한 기업으로 거듭났다.

    단 7줄의 코드는 스트라이프를 가장 성공적인 온라인 결제 인프라 기업 중 하나로 만들어주었다. 스트라이프는 2024년에 $1.4T의 연간 총 결제금액(TPV)를 달성했으며, 이는 전 세계 GDP의 약 1.3% 규모이다. 스트라이프는 2024년 초에 ~$65B의 기업가치를 평가 받았으며, 2025년 초에는 ~$91.5B까지 평가받을 정도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핀테크 기업 중 하나이다. 참고로 페이팔의 시가총액이 ~$64B이다.

    1.2 스트라이프의 주요 제품군

    Souce: Stripe

    초기 스트라이프와 마찬가지로 오늘날 스트라이프에서의 핵심 서비스 또한 온라인에서 다양한 결제 수단을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발자 친화 API이다. 하지만 이제 스트라이프는 결제와 관련된 모든 인프라를 혁신하는 기업으로,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프로덕트를 제공한다.

    스트라이프의 제품군은 크게 1) 글로벌 결제 (Global Payments), 2) 자금 관리 (Money Management), 3) 파이낸스 자동화 (Revenue and Finance Automation),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뉜다.

    1.2.1 글로벌 결제 (Global Payments)

    • Payments: 스트라이프의 핵심 기능으로, 개발자들이 단일 API를 통해 쉽게 결제 서비스를 자신의 프로덕트에 도입할 수 있으며, 전세계의 다양한 결제 옵션을 지원하여 글로벌 고객 대응이 가능하다. “Payments”는 단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Payments Links”, “Checkout”, “Elements” 기능을 통해 UI/UX를 최적화할 수 있고, “Radar”, “Authorization Boost”와 같은 다른 AI 툴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 Terminal: 가맹점이 오프라인 결제와 온라인 결제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하며, 스트라이뿐만 아니라 다른 써드파티 기업에서 제공하는 카드리더기 까지 지원한다.

    • Radar: AI와 스트라이프의 글로벌 결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이상 거래를 탐색하고 방지하는 솔루션.

    • Authorization Boost: AI를 기반으로 잘못된 결제 거부 (false decline)을 식별하고 재시도하여 결제 승인율을 높이는 솔루션.

    1.2.2 자금 관리 (Money Management)

    • Connect: 플랫폼, 마켓플레이스 사업자를 위한 결제/정산 시스템 구축 B2B 솔루션으로, 쇼피파이(Shopify)나 도어대시(Doordash)와 같은 성공적인 플랫폼 기업들이 “Stripe Connect”를 사용하여 결제 시스템을 구축했다. 사업자는 복잡한 세금, 글로벌 결제 방식, 리포팅, 컴플라이언스와 같은 문제를 고민할 필요 없이 수 많은 머천트와 고객들을 온보딩시킬 수 있다.

    • Global Payouts: 고객, 판매자, 서드파티 등 누구에게나 그들의 로컬 화폐로 송금할 수 있는 솔루션.

    • Financial Accounts: 스트라이프에서 플랫폼 사업자 등에게 제공하는 금융 계좌로, 하나의 대시보드 내에서 송금, 결제, 외환거래, 대출, 스테이블코인 활용 등 다양한 금융 활동을 할 수 있다.

    • Capital: 사업자가 손쉽게 스트라이프로부터 대출을 통한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솔루션으로, 사업자 매출의 일부가 자동적으로 대출금 상환에 사용돼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 Issuing: 가상 카드 및 실물 카드 발급을 지원하는 카드 프로그램으로, 기업이나 플랫폼이 자체 브랜드 카드를 쉽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1.2.3 파이낸스 자동화 (Revenue and Finance Automation)

    • Billing: 구독, 사용량 기반 모델 등 다양한 반복 결제 모델을 쉽게 도입하고 자동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Invoicing: 청구서를 발행하고, 이를 고객에게 이메일 등으로 전송한 후에 다양한 페이먼트 솔루션으로 결제를 받을 수 있는 솔루션.

    • Revenue Recognition: 구독료와 같은 매출은 회계상 처리하기 까다로운데, “Revenue Recognition”은 기업이 복잡한 수익 인식을 ASC 606, IFRS 15와 같은 회계기준에 맞게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솔루션이다.

    • Stripe Sigma: 스트라이프 내에서의 결제, 구독 등과 같은 데이터를 SQL 혹은 자연어 쿼리로 분석할 수 있는 리포팅 툴이다. 기업 내 재무팀, 데이터팀 등은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결제 관련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 Tax: 기업이 스트라이프를 통해 받은 매출에 대한 매출세, VAT, GST 등의 세금을 자동적으로 계산, 징수, 리포팅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으로, 글로벌 과세 규정까지 반영할 수 있다.

    • Data Pipeline: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스노우플레이크(Snowflacke), 레드시프트(Redshift)와 같은 외부 데이터 플랫폼에 자동으로 동기화해주는 인프라 솔루션.

    1.2.4 그 외 (Others)

    • Financial Connections: 고객의 은행 계좌나 금융정보를 빠르게 연동, 검증할 수 있는 기능으로, 잘못된 계좌 정보로 발생하는 지급 실패나 인증 딜레이와 같은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 Identity: 온라인 KYC/AML 솔루션으로, 사기 리스크를 줄이고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지원하여 고객 온보딩 흐름에 적용 가능하다.

    • Atlas: 스타트업이 미국의 델라웨어 법인을 쉽게 설립하고, 이를 통해 스트라이프를 통한 결제까지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

    • Climate: 결제 수익의 일부를 기후 변화 완화 프로젝트 등에 자동 기부할 수 있게 하는 솔루션.

    1.3 여전히 갈길이 먼 웹2 페이먼트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오프라인 결제에 쉽게 접근하지만, 이는 스트라이프와 같은 핀테크 기업들이 금융의 프론트엔드를 혁신한 결과일 뿐, 금융의 백엔드는 여전히 낙후되어있고 비효율적이어서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 비효율적인 해외 결제: 스트라이프가 다양한 통화와 결제 옵션을 통해 글로벌 결제를 지원하긴 하지만, 정산 과정의 백엔드를 살펴보면 여러 중개 은행과 SWIFT 및 각국의 결제망을 거치는 등 여전히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다.

    • AI 에이전트 결제 지원: AI 에이전트는 신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은행 계좌나 카드를 통한 적법한 온라인 결제에 접근할 수 없다.

    • 마이크로 페이먼트: 기존의 카드 네트워크, 결제망을 활용하여 마이크로 페이먼트를 진행할 경우 처리 금액에 비해 수수료가 과도하게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현실적으로 마이크로 페이먼트 지원이 불가능하다.

    • 파편화된 금융: 카드망, 송금망, 증권망 등 지금의 금융 백엔드들은 목적에 따라 전부 파편화되어있고 호환 가능하지 않다.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바로 블록체인이다. 블록체인은 유니버셜한 렛저의 역할을 하여 국경에 상관 없이 모든 금융 활동을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AI 에이전트 결제 및 마이크로 페이먼트와 같은 기존에 불가능했던 기능까지 가능케할 수 있다.

    2. 스트라이프의 다음 여정: 스테이블코인과 템포

    2.1 스테이블코인에 진심인 스트라이프

    스트라이프는 핀테크 기업들 중에서 그 누구보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잠재력을 빠르게 알아차리고, 이를 기능으로 도입했던 기업이다. 스트라이프는 2014년에 결제 회사 최초로 비트코인 결제 기능을 지원했으나, 아쉽게도 2018년에 비트코인 결제 기능의 지원을 종료했다. 비트코인 결제 기능을 종료한 가장 큰 이유는 비트코인이 결제 수단보다는 가치 저장의 수단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결제를 혁신하는 방법이 비트코인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이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위에서 법정화폐와 그 가치가 연동되어있는 토큰으로, 블록체인 인프라를 기반으로 웹2 결제의 백엔드를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스트라이프는 스테이블코인에서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최근 그 어떠한 기업들보다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하여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스트라이프는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기업인 브릿지(Bridge) 인수를 시작으로 웹3 지갑 인프라인 프리비(Privy)를 인수하고, 자사의 제품에 다양한 스테이블코인 관련 기능을 추가하면서 스테이블코인 결제로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스트라이프가 자사의 제품군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는 예시는 아래와 같다:

    • 페이먼츠 (Payments): 기업이 온라인 서비스, 제품에 대한 결제를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받을 수 있다.

    • 페이아웃 (Payouts): 전 세계의 고객, 판매자, 크리에이터 등에게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기존 은행보다 빠르게 자금을 전송할 수 있다.

    • 크립토 온램프 (Crypto Onramp): 고객이 다양한 결제 옵션을 통해 암호화폐를 구매하여 플랫폼 내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이슈잉 (Issuing): 기업이 고객들에게 규제를 준수하며 스테이블코인 직불 카드를 쉽게 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 파이낸셜 어카운트 (Financial Accounts): 기업은 기존 파이낸셜 어카운트 서비스에서 법정화폐뿐만 아니라 스테이블코인까지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ACH, SEPA와 같은 기존망뿐만 아니라 8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까지 연결되어있어 법정화폐와 암호화폐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 오픈 이슈언스 (Open Issuance): 기업이 규제를 준수하며 자체 브랜드의 스테이블코인을 직접 발행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이다.

    • 템포 (Tempo): 스테이블코인 결제, 활용을 위한 스트라이프에서 개발중인 고성능의 EVM 레이어1 네트워크이다.

    정리하면 스트라이프를 통해서 기업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기존보다 더 시간, 비용 효율적으로 결제를 받고, 송금을 할 수 있으며, 이를 기존 법정화폐와 함께 심리스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여기에 더 나아가 자체적인 스테이블코인까지 쉽게 발행할 수 있는 것이다. 사실상 스트라이프는 기업이 스테이블코인 밸류체인 상에서 발행부터 활용까지 전부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매우 강력한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기업인 것이다.

    2.2 템포를 통해 완성되는 스트라이프의 마스터 플랜

    하지만 스테이블코인/블록체인 기능을 도입하는 웹2 핀테크 기업들은 정말 많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스트라이프만의 차별점은 무엇일까?

    나는 그 중심에 템포(Tempo)가 있다고 생각하며, 원래 결제 프로세스에서 스트라이프는 PSP라는 부수적인 역할을 했다면, 템포 이후의 스테이블은 결제의 모든 라이프사이클을 담당할 수 있는 풀스택 결제 플랫폼으로 거듭날 것이다.

    기존 카드 결제 인프라를 살펴보면 결제를 처리하는 핵심 주체들은 1) 카드를 발급하고, 고객의 자금을 관리하는 발급 은행(issuing banks), 2) 가맹점 정산을 담당하는 매입 은행(acquiring banks), 그리고 3) 발급 은행과 매입 은행을 이어주는 카드 네트워크이다.

    원칙적으로는 스트라이프와 같은 PSP 기업들이 없어도 결제를 처리할 수 있지만, 기업, 가맹점 입장에서 다양한 카드와 다양한 결제 옵션을 일일이 도입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기에 수 많은 기업, 가맹점들은 스트라이프와 같은 PSP 기업들을 통해 결제를 쉽게 처리하는 것이다. 즉, PSP 기업은 결제 프로세스에서 핵심보다는 부수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하지만 스트라이프가 지금과 같이 스테이블코인 기능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템포를 출시한다면 결제 시장에서의 스트라이프의 역할은 180도 달라질 수 있다. 스트라이프는 더 이상 부수적인 역할이 아닌, 결제의 모든 프로세스를 담당할 수 있는 핵심 결제 기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매입 (Acquiring): 스트라이프는 이미 사실상 매입 역할을 어느정도하고 있다. 매입 은행들과 제휴를 맺고 기업, 가맹점들에게 정산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스트라이프는 최근 미국 조지아주 금융당국으로부터 MALPB 라이센스 신청을 승인 받으며, 매입 은행의 역할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여기에 만약 스트라이프가 백엔드로 스테이블코인의 정산을 지원한다면 “Financial Accounts”의 기능과 시너지 효과를 내어 사실상 매입 은행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 카드 네트워크 (Card Network): 스트라이프에서 카드 결제가 이루어지면, 스트라이프는 이를 비자, 마스터카드와 같은 외부 카드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를 처리한다. 템포가 출시되고 스트라이프가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템포에서 처리한다면, 템포는 사실상 카드 네트워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 발급 (Issuing): 스트라이프는 이미 “Issuing”이라는 기능을 통해 법정화폐 및 암호화폐 기반의 카드를 쉽게 발급할 수 있도록 하며, 스트라이프가 프리비(Privy)의 기능을 통해 엔드유저에게도 지갑을 쉽게 개설할 수 있도록 한다면, 사실상 스트라이프 플랫폼 자체가 카드 발급 은행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 그 외 (Others): 템포는 스테이블코인에 특화된 블록체인으로 핵심 기능으로 AI 에이전트 페이먼트와 마이크로 페이먼트를 언급하고 있다. 즉, 템포는 기존 웹2 금융 인프라가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분야까지 가능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3. 모두가 스트라이프를 쓰게 될 것이다 (아무도 모르게)

    3.1 템포, 아크(Arc)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사실 템포의 등장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템포가 등장하기 이전에도 USDT 특화 체인인 스테이블(Stable)같은 네트워크들이 먼저 공개되었으며, USDC의 발행사인 서클(Circle)도 USDC에 특화된 체인인 아크(Arc)를 공개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 특화 체인들 모두 낮고 예측 가능한 수수료, 프라이버시 기능, 높은 확장성 등을 내세우고 있는 점 또한 굉장히 유사한 지점이다.

    템포는 미국의 규제를 준수하는 기업인 스트라이프에서 개발한다는 점에서 서클의 아크(Arc)와 자주 비교되고는 하는데, 아크에 비해 그 출발선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서클은 단순 스테이블코인 발행자로서, 아크를 실생활의 결제나 금융 활동에 도입하기 위해선 다양한 기업과 가맹점들에게 새로 영업을 해야하는 반면에, 스트라이프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구축한 네트워크 효과를 가지고 있다.

    템포는 공개되었을 때부터 Anthropic, Coupang, Deutsche Bank, Lead Bank, Nubank, OpenAI, Revolut, Shopify, Standard Chartered, Visa와 같은 글로벌 기업, 은행들과 협업한다는 사실을 발표했으며, 웹3적인 측면에서는 웹3 최고의 VC 중 하나로 평가받는 패러다임(Paradigm)의 인큐베이팅을 받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웹2와 웹3 모든 측면에서 이미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템포의 강력한 네트워크는 아크와 비교해서 갖는 가장 큰 차별점 중 하나이며, 템포가 출시되었을 때 실제로 매스어돕션이 이루어질 확률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3.2 모두가 스트라이프를 쓰게 될 것이다

    결제 시장에서 우리는 비자/마스터카드의 시대를 살고 있다. 나는 대담한 주장을 해보자면, 미래에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활성화 될 때 모두가 스트라이프를 쓰게 되는 날이 올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는 근거는 아래와 같다:

    1. 스트라이프는 레거시 금융에서는 그 역할이 단지 PSP 기업으로 그쳤다면,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장에서는 결제 프로세스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부 담당할 수 있다.

    2. 스트라이프의 개발자 친화적인 DNA는 이러한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을 잘 추상화하여, 사용자들이 블록체인을 사용하는지 모르게 서비스에 통합할 수 있는 역량이 충분하다.

    3. 스트라이프가 이미 구축하고 있는 강력한 네트워크는 스테이블코인 결제의 매스어돕션을 가능케할 것이다.

    우리는 모두 금융활동을 잘 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ACH, SEPA, SWIFT, VisaNet, RTGS와 같은 금융망들이 뭔지도 모른다. 스트라이프는 템포를 비롯한 블록체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결제의 매스어돕션을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며, 만약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메인이되는 세상이 온다면 그 중심에는 스트라이프가 있을 것이다.

    최신 이슈
    뉴트럴 오리진 프로그램: 7,500만 달러로 입증된 수요
    1일 전

    뉴트럴 오리진 프로그램: 7,500만 달러로 입증된 수요

    author
    Ponyo
    거래소 네트워크 vs 제국
    2일 전

    거래소 네트워크 vs 제국

    author
    Ponyo
    스트라이프: 7줄의 코드에서 템포까지
    3일 전

    스트라이프: 7줄의 코드에서 템포까지

    authorauthor
    100y, AsiaStablecoinAlliance
    가입하고 무료 뉴스레터 구독
    최신 크립토 산업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로그인

    관련 아티클

    내년에 떠오를 주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