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얼라이언스(Asia Stablecoin Alliance)가 이번 해 9월 25일에 포필러스(Four Pillars), 레이어제로(LayerZero) 및 전 세계의 스테이블코인 리더들과 함께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컨퍼런스(Asia Stablecoin Conference, ASC)를 개최합니다. ASC 스포트라이트 컨텐츠는 참가자들이 ASC 행사에 진정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ASC 행사에 후원한 기업들을 사전에 조명하고, 이들이 아시아 시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담는 컨텐츠입니다.
ASC 스폰서: Pharos (Title), Ant Digital Tecnhologies (Title), Canton, Ethena, Kiln, Plume, Rialo, Securitize
ASC 참여자: Ant Digital Tecnhologies, Avalanche, Bybit, Canton, Ethena, Ethereum Foundation, Four Pillars, Frax, Grove, IDRX, Japan Smart Chain, Kiln, Lambda256, Layer Zero, Mantle, Maple, Neutrl, Pharos, Plume, RedStone, Rialo, Securitize, Sky, Solana, Spark, Stable, Stargate, Sumimoto, Theo, UR Bank, Wyoming Stable Token Commission
ASC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ASC 웹사이트: https://conference.asiastable.org/
ASC 참가신청: https://luma.com/la44fa6d
Source: Ethena
전세계의 낙후된 금융 인프라는 점차 블록체인으로 전환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속에서 스테이블코인은 꼭 필요한 존재이다. 실제로 스테이블코인은 크립토 생태계에서 PMF를 찾은 몇 안되는 프로덕트이며, 미국의 GENIUS Act와 같이 규제가 명확해지면서 성장세는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다.
현재 가장 규모가 큰 스테이블코인은 Circle의 USDC나 Tether의 USDT와 같은 중앙화된 스테이블코인인데, 이들은 가격이 안정적이고 확장성이 높지만 중앙화된 요소로 인한 SPOF 문제가 있다. 여기에는 검열 가능성, 은행 시스템의 의존도, 중앙화된 수익 구조 등이 포함된다. 반면 지금까지 나왔던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과담보를 채택해서 자본 효율성이 낮거나, 저담보를 채택하여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혹은 유동성이 낮아 효과적으로 생태계를 확장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에테나의 USDe는 델타 뉴트럴 포지션을 통한 안정성, 과담보가 필요 없는 자본 효율성, 중앙화되지 않은 구조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에테나는 디지털 경제를 위한 합성 달러를 발행하는 프로토콜로, 크립토 네이티브한 전략을 통해 발행되는 USDe와 이를 예치하여 이자를 받을 수 있는 sUSDe, 그리고 GENIUs Act를 준수하는 것을 목표로 발행되는 USDtb를 발행한다. 에테나의 대표 스테이블코인인 USDe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2년도 채 안되는 기간안에 무려 $13B의 발행량을 가지게 되었다.
Source: Ethena
에테나의 가장 대표적인 프로덕트는 USDe 스테이블코인이다. USDe 스테이블코인은 담보를 단순히 현금으로 가지고 있는게 아니라, 암호화폐 현물(spot)과 파생상품 거래소에서의 숏 포지션의 조합으로 달러 가치에 고정되도록 설계되었다.
핵심 메커니즘은 델타 헤징으로, 만약 사용자가 100 USDT를 100 USDe로 바꾼다면, 100 USDT의 절반은 ETH 현물을, 절반은 ETH 숏 포지션을 매수함으로써 1 USDe의 가치를 1 USD로 유지할 수 있고, 오히려 선물 거래소에서 나오는 펀딩비로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USDe를 뒷받침하는 자산은 CEX 거래소에 두지 않고, Copper, Ceffu, Cobo와 같은 안전한 오프 익스체인지 커스터디 솔루션(OES)에 보관한다.
Source: Ethena
에테나는 USDe의 담보 상황과 감사 기록을 전부 투명하게 공개한다. 담보의 구성은 BTC, ETH, ETH LSTs, SOL에 대한 델타 뉴트럴 포지션, 스테이블코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리스크와 유동성을 분산하기 위해 하나의 거래소가 아닌, 여러 거래소에 걸쳐 자산들을 보유하고 있다.
담보를 정말 USDe 발행량만큼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도 오프체인에서의 커스터디 감사와, 온체인에서의 Proof of Reserve를 사용하여, 안전성을 유지한다.
Source: Ethena
USDe는 1 USD의 가치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단순한 스테이블코인이며, 사용자가 만약 USDe의 담보로부터 나오는 수익을 얻고 싶다면 USDe를 예치해서 sUSDe를 받으면된다. sUSDe에는 이자 수익이 누적되기 때문에 sUSDe의 가치는 이자 수익에따라 상승하며, 최근 sUSDe의 수익율은 펀딩피에 따라 연 5-10% 사이를 왔다갔다하고 있다. 참고로 USDe 담보에서 나오는 수익의 원천은 크게 3가지이다:
펀딩피: 에테나가 헷지를 위해 잡는 숏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수익
스테이블코인: 담보 중 일부를 USDC, USDT로 보유하는데, 이는 예치처(CeFi, DeFi)에 따라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음
Staked ETH: 담보로 보유하는 ETH 중 일부는 Lido stETH, Rocket Pool rETH 등의 형태일 수 있고, 여기서 스테이킹 수익이 창출됨
Source: Ethena
USDe가 크립토 네이티브한 방식으로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이라면, USDtb는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만들어진 에테나의 또 다른 플래그십 스테이블코인 프로덕트이다. USDe와 달리 USDtb의 담보는 BUIDL, USDC, USDT로만 구성된다. BUIDL은 블랙록이 시큐리타이즈를 통해 발행한 토큰화 MMF로, 1달러의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MMF의 토큰화된 버전이기 때문에 GENIUS Act를 준수하는 담보 구성물 중 하나이다. 현재 약 $1.8B의 USDtb가 발행되어있다.
에테나는 크립토 생태계에서 가장 공격적인 확장 전략을 취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단순히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것을 넘어 이의 활용처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취하고 있다. USDe는 이미 수 많은 디파이 프로토콜에 통합되어 활용되어있고, USDtb 또한 Aave, Morpho등과 같은 주요 렌딩 프로토콜에 도입되어 담보로 활용되고 있다. 통과되지는 못했지만 USDe를 하이퍼리퀴드의 기본 통화인 USDH에 도입하고자 했던 제안도 이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
Source: Converge
에테나는 단순히 USDe, USDtb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것을 넘어서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에테나는 컨버지(Converge)라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시큐리타이즈와 함께 구축하여, 사용자들이 에테나의 스테이블코인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시큐리타이즈의 토큰화 증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컨버지는 이름의 뜻이 내포하고 있듯이 탈중앙금융과 전통금융의 허브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금융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확장성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컨버지는 네트워크 코어를 극대화하여 확장성을 개선한다. 또한 가스비는 USDe를 사용하며, sENA가 밸리데이터 보안에 사용된다.
Source: Converge
컨버지의 가장 재미있는 특징 중 하나는 네트워크 위에 퍼미션리스 앱과 퍼미션드 앱스가 공존한다는 것이다. 이는 리테일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의 니즈를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는 퍼미션리스 하지만, 규제 준수를 위해 특정앱에서는 KYC를 통과하고 특정 요건만 만족한 지갑만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강제할 수 있다. 이는 온체인의 유동성과 현실세계의 규제준수를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이다.
Source: Ethena
텔레그램 유저들은 내장되어있는 자체 웹3 월렛에서 USDe를 보유할 수 있고, 이를 예치하여 15% 이상의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가 굉장히 직관적으로 설계되어있어 누구나 쉽게 USDe 이자 수익에 접근할 수 있다. 이는 텔레그램의 십억명 이상의 유저들에게 USDe가 노출될 수 있는 기회이며, 에테나가 온체인뿐만 아니라 기존 금융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국가들까지 확장할 수 있는 전략이다.
스트래티지(Strategy)의 비트코인 DAT 전략 이후로 수 많은 기업들이 BTC, ETH뿐만 아니라 다양한 토큰으로 DAT 전략을 구사하기 시작했다. 에테나 또한 DAT 전략을 통해 온체인 생태계의 투자자뿐만 아니라 전통금융의 주식 투자자에게도 익스포저를 제공할 수 있다.
첫 번째는 TLGY Acquisition Corp.라는 SPAC 기업이다. TLGY는 StablecoinX Assets Inc.와 합병하여 회사 이름을 StablecoinX Inc.로 바꾸고, 나스닥에 USDE라는 티커로 상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PIPE 펀딩으로는 총 $890M이라는 어마무시한 규모를 조달했고, 2025년 4분기에 상장 절차가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는 Mega Matrix Inc.이며 이미 NYSE에 상장되어있는 기업이다. 이 기업 또한 ENA DAT 전략을 추진 중에 있으며, $2B 규모의 증권 발행 옵션을 확보하여 ENA를 매수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아시아는 에테나 성장 전략의 핵심입니다. 이 지역은 암호화폐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고 수준 높은 사용자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초기부터 중국과 한국과 같은 시장에서 강력한 도입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아시아 커뮤니티의 지지와 열정에 깊이 감사드리며, 그들의 적극적인 제품 사용과 꾸준한 피드백은 우리의 개발 로드맵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습니다.
앞으로 아시아를 단순한 시장이 아니라 에테나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가는 핵심 파트너로 보고 있습니다. 현지화된 커뮤니티 활동, 거래소 및 프로토콜과의 파트너십, 그리고 USDe와 sUSDe를 더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이니셔티브를 통해 이 지역과의 관계를 더욱 심화하는 것이 우리의 전략입니다.
우리는 유통 채널을 확장하고, 온체인 활동에 익숙하지 않은 더 넓은 암호화폐 사용자층에 다가가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USDe를 단순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달러 표시 저축 계좌로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아시아 전역의 개인 투자자와 비 크립토 네이티브 사용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아시아는 흔히 단일 시장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규제, 사용자 행태, 암호화폐 수용 수준을 가진 다수의 국가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서구 팀들이 흔히 범하는 오류 중 하나는 아시아를 하나의 동질적인 시장으로 보는 것입니다.
가장 큰 과제이자 우리의 주요 초점은 시장별로 맞춤화된 진출 전략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이는 각국의 규제 환경 이해, 사용자 교육 필요성, 선호 플랫폼, 지역 커뮤니티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뢰와 유통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현지화된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추가적인 자원, 파트너십, 그리고 컴플라이언스 계획을 요구합니다.
점점 더 많은 국가가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검토하거나 정책을 정교화하는 상황에서, 우리가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얼라이언스에 참여하는 목적은 이러한 발전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목표를 추구합니다:
현지 규제 기관 및 정책 입안자와 더 긴밀한 관계 구축
아시아 각국에서 예정된 정책 변화를 빠르게 파악
금융기관들의 수요와 요구 사항을 보다 깊이 이해
이러한 지식을 통해 우리는 시장 진출 전략을 현지 상황에 맞게 조정하고, 규제 준수를 보장하며, 동시에 규제 기대치와 기관 수요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낙후된 금융 시스템은 점차 블록체인으로 전환되고 있고, 스테이블코인은 미래의 화폐가 되고 있다. 우리는 디지털 경제에 걸맞는 디지털 머니를 필요로하며, 에테나는 이 분야에 있어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에테나는 USDe, USDtb의 발행을 기반으로, 후진국부터 선진국까지 전세계의 모든 종류의 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공격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다. 에테나는 이미 규모가 가장 큰 탈중앙 스테이블코인이지만, 에테나의 여정은 이제부터 시작이며, 과연 USDC나 USDT의 아성까지 넘볼 수 있을지 지켜보자.
내년에 떠오를 주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