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FP Research
    코멘트
    이슈
    아티클
    리포트
    FP Validated
    회사 소개
    X텔레그램뉴스레터
    로그인
    logo
    FP Research
    코멘트이슈아티클리포트
    Validator
    FP Validated
    소셜
    X (KR)X (EN)텔레그램 (KR)텔레그램 (EN)링크드인
    회사
    회사 소개
    문의
    Support@4pillars.io
    정책
    서비스 약관개인정보처리방침

    [ASC 스포트라이트] 칸톤 네트워크: 기관 금융을 위한 온체인 인프라

    2025년 9월 12일 · 9분 분량
    Issue thumbnail
    100y profile100yAsiaStablecoinAlliance profileAsiaStablecoinAllianceMoyed profileMoyed
    linked-in-logox-logo
    InfraGeneralStablecoinCanton NetworkCanton Network
    linked-in-logox-logo

    0. ASC 스포트라이트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얼라이언스(Asia Stablecoin Alliance)가 이번 해 9월 25일에 포필러스(Four Pillars), 레이어제로(LayerZero) 및 전 세계의 스테이블코인 리더들과 함께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컨퍼런스(Asia Stablecoin Conference, ASC)를 개최합니다. ASC 스포트라이트 컨텐츠는 참가자들이 ASC 행사에 진정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ASC 행사에 후원한 기업들을 사전에 조명하고, 이들이 아시아 시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담는 컨텐츠입니다.

    • ASC 스폰서: Pharos (Title), Ant Digital Tecnhologies (Title), Canton, Ethena, Kiln, Plume, Rialo, Securitize

    • ASC 참여자: Ant Digital Tecnhologies, Avalanche, Bybit, Canton, Ethena, Ethereum Foundation, Four Pillars, Frax, Grove, IDRX, Japan Smart Chain, Kiln, Lambda256, Layer Zero, Mantle, Maple, Neutrl, Pharos, Plume, RedStone, Rialo, Securitize, Sky, Solana, Spark, Stable, Stargate, Sumimoto, Theo, UR Bank, Wyoming Stable Token Commission

    ASC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 ASC 웹사이트: https://conference.asiastable.org/

    • ASC 참가신청: https://luma.com/la44fa6d

    1. 들어가며

    글로벌 금융시장은 여전히 20세기에 설계된 인프라에 의존하고 있다. 거래 시간은 특정 지역의 영업 시간에 맞춰져 있고, 결제 주기는 며칠씩 걸리며, 조정 과정은 여러 단편적인 시스템에 흩어져 있다. 이런 비효율은 비용을 늘리고 시스템 리스크를 만든다. 지금처럼 자본과 담보, 자산이 국경과 시간대를 넘어 즉시 이동해야 하는 세상에서는 잘 맞지 않는 구조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24/7 결제와 프로그래머블 금융이라는 대안을 제시했지만, 모든 거래가 모든 참여자에게 공개되는 구조라 기관은 민감한 포지션과 전략을 그대로 노출해야 했다. 반대로 프라이빗 원장은 기밀성을 제공했지만 고립된 사일로처럼 작동해 상호운용성과 유동성에서 오는 네트워크 효과를 막았다. 두 방식 모두 현대 금융시장에 맞는 토대를 제공하지 못했다.

    2. 칸톤(Canton) 개요

    칸톤 네트워크(Canton Network)는 이 딜레마를 풀기 위해 설계됐다.

    Digital Asset이 개발해 2024년에 공개한 이 네트워크는 public permissionless network로, 원자적 결제(atomic settlement)와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면서도 프로토콜 수준에서 프라이버시와 규제 준수를 보장한다. 이를 통해 기관은 기밀 워크플로우를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다른 네트워크와 원활히 연결할 수 있기에 과도한 투명성이나 완전한 고립이라는 극단을 피할 수 있는 구조다.

    Source: Canton

    칸톤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다. 기존 블록체인과 달리 전체 원장 상태를 모든 노드에 복제하지 않으며, 검증자는 자신이 호스팅하는 당사자가 직접 관여한 거래만 처리한다. 애플리케이션들은 synchronizer를 통해 연결되어, 각 참가자 노드가 하나 이상의 도메인에 연결되는 메시 형태를 이룬다.

    거래가 결제되려면 각 단계마다 선택한 synchronizer를 통해 라우팅된다. 애플리케이션 제공자와 이용자는 프라이빗 퍼미션 synchronizer를 사용할지, 퍼블릭 코디네이션 레이어인 Global Synchronizer를 활용할지 선택할 수 있다. 어떤 synchronizer를 사용하더라도 검증자들은 애플리케이션과 서브넷 전반에서 원자적으로 거래할 수 있다. 이 설계는 애플리케이션 차원의 주권을 보존하면서도 네트워크 전반의 상호운용성을 유지한다.

    2.1 핵심 구성 요소

    • Daml Smart Contracts: 칸톤의 스마트 계약 언어로, 금융 논리와 접근 제어(누가 계약을 보고·행동할 수 있는지)를 함께 정의

    • Participant Nodes (Validators): Daml 엔진을 실행하고 관련 계약을 저장하며, 기관은 자체적으로 운영하거나 Canton Service Provider(CSP)에 위탁 가능

    • Parties: 은행, 펀드, CCP, 규제기관 등 계약을 소유하거나 상호작용하는 법적 실체로, 각 party는 검증자 노드에 호스팅됨

    • Synchronizers: 거래를 순서화하고 연결된 검증자 간 원자적 커밋을 보장하는 조정 계층

    • Global Synchronizer: 여러 super validators가 공동 운영하는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통 프라이빗 도메인이 없을 때도 상호운용성과 원자성을 보장

    설계 의도는 단순하다. 기관이 자신의 데이터와 노드를 직접 통제하면서도 글로벌하게 동기화된 금융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2 트랜잭션 흐름

    칸톤의 거래 모델은 sub-transaction 그래프 구조다. 각 참여자는 자신과 관련된 부분만 검증하지만, 저체 결과는 글로벌하게 하나로 일관된다.

    예를 들어 Delivery-versus-Payment(DvP) 거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 거래 생성: 참가자 노드가 증권과 현금 교환을 Daml 트랜잭션으로 인코딩한다. 계약 생성, 이전, 아카이브 같은 연산이 포함된 트랜잭션 트리가 만들어진다.

    2. 뷰 분할: 거래는 자동으로 여러 뷰로 나뉜다. 각 이해관계자는 자신에게 해당하는 가지(branch)만 받는다. 매수자의 은행은 현금 흐름만 보고, 수탁자는 증권 이동만 본다.

    3. 도메인 제출: 검증자가 암호화된 뷰를 synchronizer에 제출한다. synchronizer의 시퀀서는 거래에 타임스탬프를 찍고 순서를 정리하지만, 내용은 들여다보지 않는다.

    4. 2단계 검증: 각 검증자는 자신의 뷰를 복호화하여서 컨트랙트의 내용과 권한을 확인한다. 조건이 충족되면 서명을 반환한다.

    5. 커밋 결정: synchronizer의 mediator가 모든 서명을 모아 commit certificate를 발급한다. 하나라도 거부되면 거래는 무효가 된다.

    6. 최종화(Finalization): commit certificate가 발급되면 모든 검증자가 같은 시점에 원장을 업데이트한다. 각자는 자신이 허용된 뷰만 기록하지만 결과는 글로벌하게 일관된다. 이로써 원자적 최종성(atomic finality)이 보장된다. 거래는 전부 실행되거나 전혀 실행되지 않는다.

    3. 칸톤 네트워크의 고유한 특징

    3.1 Daml: 프라이버시 중심 컨트랙트 모델

    Source: Canton

    칸톤은 컨트랙트 내에 접근 제어를 직접 내장하는 방식으로 프라이버시를 구현한다. 각 Daml 계약은 세 가지 역할을 정의한다.

    • Signatory: 계약의 책임자. 컨트랙트 생성이나 폐기 시 반드시 승인해야 한다

    • Observer: 감독이나 감사 목적을 위해 컨트랙트를 볼 수 있지만 수정은 할 수 없는 참여자

    • Controller: 컨트랙트 내에서 이전, 종료, 압류 같은 특정 선택지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참여자

    예를 들어 레포 거래를 가정해 보자. A은행은 B은행에 1,000만 달러 현금을 전달하고, B은행은 수탁기관이 보관하는 1,000만 달러 상당의 국채를 맡긴다. A은행의 검증자는 현금 유출과 만기 시 국채를 돌려받을 권리만 기록한다. B은행의 검증자는 국채 전달과 현금을 상환해야 하는 의무만 기록한다. 수탁자는 증권 이동만 확인하고, 규제기관은 observer로 지정된다면 두 가지 모두를 감독할 수 있다.

    이 모든 관점은 하나의 트랜잭션 트리 안에서 가지(branch)로 표현된다. 결제는 원자적으로 일어나지만, 각 참여자는 자신과 무관한 부분을 들여다볼 수 없다. 페이로드는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되고, 동기화 서비스는 최소한의 메타데이터만 다루기 때문에 인프라 운영자조차 내용을 알 수 없다. 결과적으로 기밀성을 지키면서도 원자적 결제를 보장하는 원장이 만들어진다.

    3.2 Global Synchronizer: domain간의 상호운용성 솔루션

    Source: Canton

    프라이빗한 synchronizer은 기관이 기밀 거래를 가능하게 하지만, 단독으로 존재하면 결국 사일로를 만든다. Global Synchronizer는 이를 연결해 칸톤이 하나의 상호운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작동하도록 한다.

    Global Synchronizer가 보장하는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 Ordering: 모든 거래는 일관된 타임스탬프와 순서를 가진다.

    • Atomicity: 교차 도메인 워크플로우는 전부 성공하거나 전부 실패한다.

    • Finality: 한번 확정된 거래는 되돌릴 수 없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Synchronizer가 거래 데이터를 직접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모든 페이로드는 암호화된 상태로 남아 있고, 처리되는 것은 극히 제한된 메타데이터뿐이다.

    이 서비스는 여러 super validators가 연합해 운영하며, 거버넌스는 Linux Foundation 산하 Canton Foundation이 맡는다. 이 재단에는 Broadridge, LayerZero, Moody’s, 그리고 SBI Digital Asset Holdings 같은 글로벌 대형 기관이 참여하고 있어 폭넓은 업계 지지를 보여준다.

    4. 활용 사례: DTCC U.S. Treasuries Pilot

    칸톤은 이미 여러 대형 프로젝트를 구동하고 있다.

    • Euroclear: 길트, 유로본드, 금을 토큰화해 27개 기관과 실험. 기존에 유동성이 떨어지던 자산도 당일 재활용 가능함을 입증했다.

    • Broadridge Distributed Ledger Repo (DLR): 칸톤 기반 레포 플랫폼으로, 현재 매월 4조 달러 이상 미국 국채 레포를 처리한다.

    • Nasdaq Calypso: QCP, Primrose와 협력해 파생상품과 채권 전반에 걸친 24/7 담보 워크플로우 자동화.

    • BitSafe CBTC: 1:1 비트코인 담보 자산으로, 기관급 담보로 활용 가능.

    Source: Canton

    그중에서도 DTCC U.S. Treasuries Pilot(2024)은 칸톤이 담보 유동성(Collateral Mobility)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가장 종합적으로 보여줬다.

    이 파일럿에는 26개 기관이 참여했고, 21개 검증자 노드와 11개 애플리케이션(레지스트리, 마진 시스템, 가격 오라클 포함)이 Global Synchronizer로 묶였다. 6주간 100건이 넘는 원자적 교차 애플리케이션 거래가 실행됐고, DTCC의 LedgerScan이 토큰화된 “UST Twin”과 기존 CSD 기록을 대조했다.

    테스트된 네 가지 흐름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 트윈 발행: 수탁기관이 국채를 CSD에 예치하고, 그에 대응하는 “UST Twin” 토큰을 발행. 레지스트리 권리관계가 원자적으로 업데이트된다.

    • 마진 납부: 투자자가 마진 콜을 충족하기 위해 UST Twin을 제출. 가격과 헤어컷 데이터가 실시간 반영되고, 담보는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걸쳐 원자적으로 잠긴다.

    • 마진 반환/대체: 담보 자산을 수 분 내로 회수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국채가 하루에도 여러 번 재활용된다.

    • 청산 및 압류: 디폴트 상황에서 담보권자가 UST Twin을 압류. 자산은 원자적으로 이전되고, 수탁기관은 법적 소유권 기록을 업데이트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이제 파일럿 단계를 넘어 프로덕션 단계로 진입했다. Digital Asset과 DTCC는 칸톤 위에서 최초의 실시간 온체인 미국 국채 금융 거래를 완료했다. 이 거래는 Tradeweb에서 실행되었으며, 토큰화된 국채를 USDC와 교환해 시장 시간이 아닐 때조차 거의 즉각적이고 원자적인 결제로 마무리됐다. 이는 파일럿에서 실제 배포로 전환된 것을 의미하며, 국채가 이제 칸톤의 글로벌 담보 네트워크(Global Collateral Network) 안에서 24/7 담보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5. 팀과의 Q&A

    5.1 칸톤은 아시아 지역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바라보나요?

    빠르게 성장하는 자본시장, 글로벌 주식·채권·외환·파생상품 분야에서의 리더십, 디지털 자산 혁신에서의 선도적 역할을 고려할 때 아시아는 칸톤 네트워크의 성장에 있어 전략적으로 핵심적인 지역이다. 홍콩금융관리국(HKMA)의 녹색 채권, 싱가포르 통화청(MAS)의 Project Guardian과 같은 지역 내 은행 및 중앙은행의 토큰화 프로젝트, 그리고 Canton Foundation에 주요 아시아 기업들이 참여한 것은 전통 금융과 크립토 금융 시스템을 칸톤 위에서 프라이버시와 상호운용성을 갖춘 상태로 통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칸톤은 아시아를 미래지향적 시장으로 본다. 퍼블릭 블록체인 혁신을 적극 수용하면서도 24/7 금융 레일을 가능케 하는 규제 등급 인프라의 필요성을 우선시하는 균형 잡힌 시장이기 때문이다. 선진 금융시장과 빠르게 확산되는 크립토 네이티브 채택이 결합된 아시아는 전통 결제와 자본시장이 온체인으로 이동하며 리테일 및 기관 DeFi와 수렴해가는 흐름과 잘 맞아떨어진다.

    5.2 칸톤이 아시아에서 현재 진행 중인 사업 활동이나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아시아의 주요 금융기관, 규제기관, 시장 인프라 제공자, 기관형 DeFi 리더들은 오랫동안 칸톤과 협력하며 이 지역에서 토큰화 및 분산원장 프로젝트를 발전시켜 왔다.

    • 규제기관 & 금융기관: HSBC와 HKMA의 다수 채권 발행 성공, HKEX Synapse 인프라의 성과에 이어 네트워크는 주요 금융기관과 규제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입지를 넓히고 있다. Canton Foundation 회원에는 HKMA와 SBI DAH가 새롭게 합류했으며,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참여하려는 기업들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 마켓 메이커 & 수탁기관: QCP 같은 기업은 글로벌 마켓 메이커와 함께 칸톤 위에서 담보 유동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도 네트워크의 핵심 주제다. Hydra X는 아시아 최초로 Canton Coin 커스터디를 제공했고, 칸톤의 프라이버시와 조합성(composability)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기관급 DeFi 상품을 선보였다.

    • 지역 확장: 일본, 싱가포르, 홍콩, 한국 전반에 걸친 규제기관 협의, 파트너십, 활동이 전략적 초점으로 유지되고 있다. 칸톤 위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은 USDC, Brale SBC 같은 프라이버시 기능을 갖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포함해, 해당 기능을 이유로 칸톤을 선택하는 다른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와 함께 아시아 내 거래 활동을 더욱 확대할 전망이다.

    향후 계획에는 아시아 지역 주요 CSD들을 중심으로 글로벌 담보 네트워크를 칸톤 위에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모멘텀을 확대하는 것이 포함된다.

    5.3 칸톤이 아시아에서 운영하거나 확장할 때 직면하는(또는 예상하는) 과제는 무엇인가요?

    • 분절된 규제 환경: 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규제 체계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예: 싱가포르 vs. 중국 vs. 일본)은 통일된 채택과 네트워크 확장에 장애물이 된다.

    • 프라이버시 성숙도: 채택이 가속화되면서 인프라 레벨에서 프로그래머블 프라이버시의 근본적 필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다. 칸톤은 실제 사례를 통해 이것이 가능함을 보여주며, 리스크를 피하면서도 신뢰와 유동성을 여는 데 필수적임을 입증한다.

    • 경쟁적 내러티브: 칸톤의 성장 방식과 시장 진출 전략 때문에 종종 ‘프라이빗 퍼미션 체인’으로 오해받는다. 그러나 현재 칸톤은 프라이버시와 제어 기능이 내장된 퍼블릭 네트워크다. L1 블록체인이 난립한 환경에서, 시장은 서로 다른 체인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성공에 필요한 핵심 기능을 갖춘 플랫폼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5.4 칸톤이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얼라이언스(ASA)에서 기대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칸톤은 ASA를 전략적 채널로 본다. 구체적으로,

    • 규제 친화적이고 프라이버시 기능을 갖춘 스테이블코인 표준을 촉진: 전통 금융과의 상호운용성이 핵심인 아시아에서 표준을 확산하는 역할

    • 기관급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개발 지원: 주말 레포, 마진 관리, 결제 사례를 규제 친화적 틀 안에서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 지원

    • 교육 활동 강화: 스테이블코인 거래, 담보 관리, 기관 유동성에서 프라이버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리는 교육 활동을 확대. 이는 칸톤의 차별화된 포인트

    또한 ASA는 스테이블코인 사용과 관련된 핵심 플레이어들을 조율하는 기구가 될 수 있다. 토큰화된 실물자산(RWA) 사용을 위한 스테이블코인 표준을 맞추고, 크립토와 전통 금융의 간극을 줄이며, 칸톤의 경제적 인센티브와 토크노믹스에 맞춘 실용적 도입 모델을 확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6. 마치며

    칸톤은 더 이상 개념 검증 단계에 머물러 있지 않다. Broadridge를 통해 수조 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 레포를 결제하고, DTCC와 함께 토큰화된 국채를 기존 인프라와 대조했으며, Euroclear와 Nasdaq 파일럿에서는 다양한 자산 클래스에서 담보가 실시간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컨트랙트 수준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고, 도메인 간 원자적 결제를 구현함으로써 칸톤은 금융시장에 만연했던 조정 비용과 결제 리스크를 줄이고, 그동안 비효율적으로 묶여 있던 유동성을 풀어냈다. 이로써 글로벌 금융은 처음으로 기밀성·상호운용성·실시간성을 동시에 갖춘 인프라를 확보하게 됐다.

    결국 칸톤은 미래 금융시장의 기반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기관이 안심하고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 자산이 경계를 넘어 자유롭게 이동하는 환경, 그리고 검증된 운영 안정성을 모두 갖춘 플랫폼으로서, 칸톤은 글로벌 자본시장의 새로운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최신 이슈
    ALT DAT 시즌은 끝났을까?
    12시간 전

    ALT DAT 시즌은 끝났을까?

    author
    100y
    초개인화 시대에 베팅하는 Anime.com
    4일 전

    초개인화 시대에 베팅하는 Anime.com

    author
    Ponyo
    스트라타, 펜들의 뒤를 이을 수 있을까?
    10일 전

    스트라타, 펜들의 뒤를 이을 수 있을까?

    author
    100y
    가입하고 무료 뉴스레터 구독
    최신 크립토 산업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로그인

    관련 아티클

    내년에 떠오를 주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Article thumbnail
    26 분 분량2025년 7월 24일

    스테이블: USDT의, USDT에 의한, USDT를 위한 디지털 국가

    Infra
    DeFi
    Stablecoin
    StableStable
    author
    100y
    Article thumbnail
    23 분 분량2025년 4월 11일

    아시아 스테이블코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호운용성이 필수적이다

    Infra
    Market
    Stablecoin
    LayerZeroLayerZero
    author
    Heechang
    Article thumbnail
    30 분 분량2025년 2월 07일

    2025년은 수이가 대중화가 되는 해: 당신이 알아야 하는 수이 알파에 대한 모든 것

    Infra
    DeFi
    General
    Market
    SuiSui
    authorauthor
    Adeniyi, Ste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