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ygon zkEVM은 높은 EVM 호환성을 제공하는 zk롤업 네트워크이다.
Polygon 코파운더의 에어드랍을 암시하는 듯한 트윗 및 비탈릭 부테린의 언급으로 Polygon zkEVM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았다.
Polygon zkEVM 생태계엔 이미 다양한 디앱들이 온보딩했으며, 초기 생태계의 성장은 Polygon 2.0 로드맵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2022년 수 많은 zk롤업 프로젝트들이 피 튀기는 경쟁을 벌였지만, 현재는 많은 프로젝트들이 메인넷을 출시하고, 생태계를 활발히 구축해나가고 있는 중이다. 2023년 3월 23일, Arbitrum 네트워크의 성공적인 에어드랍 때문일까, 사용자들은 너도나도 할 것 없이 다음 에어드랍을 노리기 위해 zk롤업들로 몰리기 시작했다. 특히 zkSync Era, StarkNet 등 아직 토큰이 출시되지 않은 zk롤업 네트워크에 사용자들이 많이 유입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 신생 zk롤업들과 달리 이미 토큰이 존재하기 때문에, zk롤업 네트워크 중 비록 관심을 적게 받고 있지만, 탄탄한 기술력과 개발자 친화적인 환경으로 자연스럽게 성장하고 있는 zk롤업이 있으니, Polygon zkEVM이 바로 그것이다. Polygon zkEVM은 Polygon 재단에서 출시한 zk롤업 네트워크 중 하나로, 과거엔 Polygon Hermez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Polygon zkEVM이 다른 zk롤업 네트워크들과 비교하여 가지는 기술적인 차별점으로는 높은 EVM 호환성이 있다.
(Source: Vitalik Buterin)
자체적인 VM을 구축하여, 솔리디티를 영지식 친화적인 언어로 transpile한 후 이를 바이트코드로 컴파일하는 다른 zk롤업 프로젝트들(e.g. StarkNet, zkSync Era)과 달리 Polygon zkEVM은 이더리움의 opcode를 모두 지원한다. 따라서 Polygon zkEVM은 다른 zk롤업 네트워크들에 비해 확장성은 조금 떨어질 수 있으나, 개발자들이 기존의 솔리디티 코드를 활용하여 훨씬 더 쉽게 디앱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Polygon zkEVM 네트워크의 경우, 가스비로는 ETH 토큰을 사용하고 있고,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의 순서를 결정해 batch를 만드는 Sequencer와 batch에 대한 ZKP를 생성하는 Aggregator에 대한 인센티브 스킴에 사용되는 토큰은 MATIC이다. 이 두 토큰 모두 이미 발행된 토큰이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은 Polygon zkEVM의 에어드랍에 대한 기대를 하지 않았고, 따라서 초반엔 타 네트워크들에 비해 저조한 성적을 보여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Polygon zkEVM 네트워크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사용자와 TVL이 빠른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선 몇 가지 이유가 있다.
(Source: Sandeep Nailwal)
첫 번째로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Polygon 코파운더 Sandeep Nailwal의 트윗이다. 위 트윗은 Polygon zkEVM의 TVL이 매우 낮다는 글에 Sandeep이 게시한 내용인데, 이 중에 ‘이미 발행된 토큰이 거대한 에어드랍을 못한다는 법은 없다’라는 내용이 포함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트윗이 게시된 이후, 에어드랍을 기대하는 많은 사용자들이 Polygon zkEVM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Source: Polygon Twitter)
두 번째로는 EDCON2023에서 Vitalik Buterin의 세미나에서 Polygon zkEVM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Vitalik은 이전에 Ethereum Magicians 커뮤니티에 롤업 네트워크가 달성해야할 마일스톤에 대한 게시글을 작성한적이 있는데, 롤업 네트워크가 진정한 롤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단계를 stage 0, 1, 2로 나누었다. Vitalik은 세미나에서 다른 네트워크들과 달리 Polygon zkEVM이 stage 1을 달성했다는 내용을 발표하며 Polygon zkEVM은 많은 관심을 받을 수 있었다. 참고로 Stage 1을 달성하기 위해선 Stage 0과 달리 실제로 작동하는 증명 시스템(e.g. fraud proof or validity proof)이 존재해야 하며, 롤업 스마트 컨트랙트의 업그레이드 메커니즘에 관해서도 안전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많은 관심을 받기 시작한 Polygon zkEVM은 TVL이 $2M 근처를 맴돌다가, 최근에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23M까지 무려 10배의 상승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생태계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TVL의 절대적인 수치만 보았을 때 아직도 네트워크는 초기 단계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아직 초기지만 성장할 동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 Polygon zkEVM 생태계에 어떠한 디앱들이 존재하는지 개괄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2.1.1 Quickswap
Quickswap은 폴리곤 생태계의 대표적인 AMM DEX로 Polygon, Dogechain, Polygon zkEVM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Quickswap은 CPMM(x*y=k)를 기반으로 AMM DEX 서비스를 제공하며, Uniswap V3와 같이 특정 가격구간에 대해서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에 더 나아가서 Quickswap은 Polygon zkEVM에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 했는데 바로 무기한 선물 트레이딩 서비스이다. Polygon zkEVM은 빠른 확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Quickswap팀은 Polygon PoS가 아닌 Polygon zkEVM 네트워크에 이를 배포한 것으로 보여진다. 기본적인 시스템은 GMX와 유사하며 오라클을 통해 가격을 불러오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price impact 없이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장의 유동성은 QLP 토큰으로부터 오며, 유동성 공급자들은 QLP 토큰을 예치하여 거래수수료 및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2.1.2 Mantis Swap
Mantis Swap은 Polygon 생태계의 stableswap DEX로 스테이블 코인과 같이 pegged assets의 거래를 용이하게 해준다. Mantis Swap이 가지는 다른 stableswap DEX과의 차이점은 여러 자산이 한 유동성 풀에 모여있으며, 단일 자산의 유동성 공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Polygon zkEVM의 Matnis Swap 유동성 풀에는 USDT, USDC, DAI가 존재하는데, 유동성 공급자는 두 개 이상의 토큰이 아닌, 한 토큰만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1.3 Antfarm Finance
Antfarm Finance는 Ethereum, Arbitrum, Polygon zkEVM 상의 DEX로 Band Rebalancing AMM이라는 새로운 전략을 사용한다. ETH/USDC 유동성 풀을 예시로 들면 유동성 공급자들은 fee를 1, 10, 25, 50%로 선택하여 유동성 공급을할 수 있다. 하지만 어느 누가 fee가 10%로 굉장히 높은 유동성 풀에서 거래를 할까? 이는 변동성이 극심할 때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인데, 만약 1 ETH의 가격이 1,000 USDC인데, 다른 시장에서 1 ETH의 가격이 1,100 USDC 이상이라면 차익거래를 하기 위해 거래가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Antfarm Finance의 Fee가 높은 유동성 풀에 유동성 공급을한 사용자들은 변동성에 베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1.4 Balancer
Balancer는 이더리움 생태계의 대표적인 AMM DEX 프로토콜로 기본적인 CPMM(x*y=k) 이외에도 두 자산의 비율을 달리 넣는 풀, stable swap 풀 등 다양한 유동성풀을 제공한다. Balancer의 zkEVM deployment는 BIP-224를 통해 제안되었으며, 최근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2.1.5 Others
위에 언급한 DEX들 이외에도 아래와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DoveSwap은 zkEVM native DEX로 Uniswap V3와 같이 유동성 공급을 특정 가격 범위에만 할 수 있는 concentrated liquidity 기능을 지원한다.
Kokonut Swap은 클레이튼 기반의 AMM DEX로, Polygon zkEVM 네트워크도 지원하기 시작했다. 비슷한 가치를 갖는 자산끼리는 Curve의 stableswap AMM을, 다른 가치를 갖는 자산끼리에도 dynamic-peg를 통해 일반 CPMM보단 더 집중된 유동성을 제공하는 AMM을 사용한다.
Sushiswap은 이더리움 생태계의 대표적인 AMM DEX로 포럼 제안을 통해 Polygon zkEVM 네트워크도 지원하게 되었다.
2.2.1 0vix
0vix는 폴리곤 생태계의 렌딩 프로토콜로 Polygon PoS와 Polygon zkEVM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사용자는 담보를 예치하여 이자를 얻거나, 과담보 방식으로 대출을 진행할 수도 있다. 0vix는 WBTC, WETH 등 메이저 토큰을 비롯하여 wstETH, stMATIC과 같은 리퀴드 토큰 및 vGHST, jEUR, gDAI 등 다양한 토큰을 지원한다.
2.2.2 Aave
Aave는 이더리움 생태계의 대표적인 렌딩 프로토콜로 다양한 EVM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타 렌딩프로토콜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과담보 방식으로 대출을 진행할 수 있다. Aave V3의 경우 Polygon zkEVM 테스트넷에서 이미 2022년부터 배포되어 테스트되었으며, 3월에 snapshot 거버넌스 플랫폼의 Polygon zkEVM 메인넷 배포에 대한 temperature check 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표를 받았기에 추후에 배포될 것으로 기대된다.
2.2.3 Qi Dao
Qi Dao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 프로토콜이다. 사용자는 담보를 맡기고 과담보 방식으로 MAI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Qi Dao의 특징으로는 사용자는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 이자를 전혀 내지 않아도 되고, 대출한 스테이블 코인을 되갚는데 기약도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물론 담보물 가치 하락에 따른 청산과정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패널티는 존재한다.
2.2.4 Others
UniLend Finance는 멀티체인 탈중앙 머니 마켓 프로토콜로, 과담보 대출을 지원한다.
2.3.1 Clober
Clober은 EVM 네트워크를 위한 온체인 오더북으로 현재 Ethereum, Polygon, Arbitrum, Polygon zkEVM을 지원한다. 온체인에서 오더북을 구현하는 것은 트랜잭션이 매우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어려운점이 많은데, Clober는 이를 Segmented Segment Tree와 Octopus Heap이라는 자체 기술을 통해 해결한다. 사용자들은 Clober을 활용해서 온체인에서도 CEX와 같은 오더북 경험을 누리면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2.3.2 Satori
Satori는 선물 오더북 트레이딩 프로토콜로 Polychain Capital, Jump Crypto, Coinbase Ventures 등으로부터 $10M에 달하는 투자를 받기도 했다. 사용자들은 Satori를 통해 온체인에서 CEX와 비슷한 UI, UX로 무기한 선물 트레이딩을 쉽게 할 수 있다.
2.3.3 Others
Spin Fi는 원래 Near Protocol 기반의 종합 디파이 플랫폼으로, 현물 및 선물 오더북 트레이딩, DOV(Decentralized Option Vault)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2.4.1 Gamma
Gamma는 그 자체로 AMM DEX는 아니지만, Uniswap V3와 같이 특정 가격 구간을 설정하여 집중화된 유동성(Concentrated liquidity)을 제공할 수 있는 DEX에 자동화된 유동성 공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Concentrated liquidity의 단점으로는 시장 가격이 설정된 가격 범위를 벗어나면 유동성 공급에서 배제되어 이자를 얻지 못하고, 비영구적 손실이 크다는 것인데, Gamma는 시장 가격에 따라 가격 범위를 자동으로 리밸런싱해줌으로써 위의 단점들을 해결해줄 수 있다. 현재 Polygon zkEVM에선 Quickswap에서 Gamma와의 협업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4.2 Gelato
Gelato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자동화를 도와주는 프로토콜로, 수 많은 디파이 프로토콜들이 Gelato를 활용하고 있다. 프로토콜들은 Gelato를 활용하여 AMM DEX에서 지정가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거나, 렌딩 프로토콜에서의 청산 리스크를 관리한다거나, 유니스왑 V3와 같이 concentrated liquidity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서 가격범위를 리밸런싱 하는 기능을 도입할 수 있다. Gelato는 Polygon zkEVM 네트워크에 Relay Network를 배포하여 생태계의 다양한 디앱들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자동화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2.4.3 Others
Bounce Finance는 Auction-as-a-Service를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Fixed-priced Auction, Dutch Auction, Sealed-Bid Auction 등 매우 다양한 옥션 방식을 온체인에서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2.5.1 OnePlanet
OnePlanet은 폴리곤 생태계의 대표적인 NFT 마켓플레이스로, 최근에 Polygon zkEVM 네트워크로의 진출을 밝혔다. OnePlanet이 타 NFT 마켓플레이스와 다른 점은 NFT 컬렉션의 큐레이션이다. OnePlanet에선 아무런 프로젝트나 리스팅될 수 있는 것이 아닌, 팀이 검증을 마친 NFT 컬렉션만 올라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안전하게 양질의 NFT를 쇼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폴리곤 생태계의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OnePlanet과 협업을 하여 다양한 이벤트들을 진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5.2 Others
Gameswift는 테라 블록체인 당시 StarTerra라는 이름을 사용했었으며, IGO, INO 및 게임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종합 게임 플랫폼이다.
Zonic은 레이어2 네트워크에 특화된 NFT 마켓 플레이스로 Optimism, Arbitrum, Nova, zkSync Era, Polygon zkEVM을 지원한다.
2.6.1 Orbiter Finance
Orbiter Finance는 롤업에 특화된 크로스 롤업 브릿지 프로토콜로 이더리움을 비롯한 다양한 L2 네트워크들을 지원한다. Orbiter finance엔 Maker라는 주체가 존재하여 각 네트워크에 유동성을 가지고 있고, 사용자가 source chain에서 Maker에게 자금을 보내고, target chain에서 Maker에게 자금을 받는 형식으로 브릿징이 작동한다.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ETH의 상한선이 있다는 것이 단점이나,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는 것이 장점이다.
2.6.2 Hyperlane
Hyperlane은 모듈러 방식으로 크로스체인 통신을 가능하게하는 프로토콜로, L1, L2, 앱체인과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Hyperlane을 도입할 수 있다. 현재는 Hyperlane의 도입이 EVM 체인만 가능하지만, 추후에 non-EVM 네트워크에도 가능해질 예정이다. 검증방식으로는 인센티브를 통한 외부 검증인을 사용한다. Hyperlane의 도입으로 인해 Polygon zkEVM에선 다른 Hyperlane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들과의 composability가 향상될 예정이다.
2.6.3 Rhino Fi
Rhino Fi는 이더리움 생태계에 특화된 all-in-one 디파이 플랫폼으로 Optimism, Arbitrum One, Polygon zkEVM, zkSync Era 등 다양한 롤업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스왑, 유동성 풀, 각종 vault 등을 지원하는 것 뿐만 아니라 브릿지 기능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Polygon zkEVM 네트워크로의 브릿지도 사용할 수 있다.
2.6.4 Magpie Protocol
Magpie Protocol은 여러 네트워크의 자산들을 직접 거래할 수 있는 크로스체인 DEX이다. 보통의 경우 다른 네트워크의 자산을 거래하기 위해선 한 체인에서 다른 체인으로 브릿지를 통해 자산을 전송한 후에 거래를 진행했어야 햇다면, 사용자는 Magpie를 사용하여 한 번에 거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크로스체인 스왑 과정에서는 토큰이 lock/burn 되는 메커니즘이 사용되지 않으며, Wormhole의 Generic Messaging Protocol을 사용되어 토큰 거래가 진행된다. 토큰이 스왑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Source chain에서 사용자의 거래가 제출된다. 2) 사용자의 자산이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된다. 3) 스테이블 코인은 Wormhole, Stargate와 같은 이미 존재하는 브릿지를 통해 예치된다. 4) 사용자의 스왑과 예치 정보가 Wormhole을 통해 Target chain으로 메시징된다. 5) 검증이 완료되면 Target chain에 존재하는 스테이블코인으로 그 토큰을 매수한 후 사용자에게 전송해준다.
2.6.5 Others
Layerswap은 크로스체인 브릿지 프로토콜로 17개의 거래소 및 20개의 블록체인을 지원한다. 타 브릿지와 달리 CEX와의 브릿지도 지원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XY Finance는 크로스체인 스왑 프로토콜로, 유동성 공급자들은 각 네트워크의 Y Pool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거래자들은 각 네트워크의 유동성을 활용하여 X Swap 기능을 통해 원하는 자산으로 스왑할 수 있다.
Bungee는 Socket이라는 크로스체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크로스체인 스왑 프로토콜로 다양한 EVM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자금 이동은 유동성 레이어를 통해 일어난다.
Meson Fi는 크로스체인 스테이블코인 스왑 프로토콜로, 유동성 공급자가 각 네트워크에 공급한 유동성을 활용해 사용자는 다양한 네트워크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스왑할 수 있다. 브릿지 방식으로는 HTLC 아토믹 스왑을 활용한다.
Interport Finance도 마찬가지로 크로스체인 DEX 프로토콜로, 유동성 공급자들이 공급한 유동성을 활용해 사용자들이 크로스체인 스왑을 한번에 진행할 수 있다.
Symbiosis finance도 마찬가지로 크로스체인 DEX 프로토콜로 다양한 EVM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브릿지 보안의 경우 Symbiosis Relayer라는 인센티브를 통해 유지되는 검증인들에 의존한다.
Celer는 EVM 체인에 최적화된 크로스체인 브릿지로, 경제적 인센티브로 작동하는 State Guardian Network라는 주체에 의해 트랜잭션들이 검증된다. 브릿징 방식은 각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유동성 공급자들의 유동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2.7.1 Pyth
Pyth는 암호화폐, 주식, FX, 상품 등의 가격 데이터를 13개 이상의 블록체인에 지원하는 오라클 프로젝트이다. Pyth는 데이터를 first-party로부터 직접 불러오는데 Cboe, Jane Street, Binance 등 다양한 대형 기관들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 Pyth의 가격 피드는 현재 Polygon zkEVM의 0vix 프로토콜에도 적용되어 있으며 앞으로 Polygon zkEVM의 다양한 프로토콜들에도 지원될 예정이다.
2.7.2 API3
API3도 Pyth와 마찬가지로 first-party에게 직접 데이터를 불러오는 오라클이다. API3의 Airnode라는 프로덕트는 third-party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직접 받을 수 있고, 사용 및 유지보수 또한 매우 쉽고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API3는 현재 Polygon zkEVM의 Dovish perpetual protocol의 가격 피드에 사용되고 있다.
2.8.1 Unmarshal
Unmarshal은 여러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데이터 인프라 서비스 및 API를 제공한다. Xscan이라는 편리한 UI의 블록 익스플로러, Parser이라는 코드가 필요없는 스마트 컨트랙트 인덱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Unmarshal은 Polygon zkEVM 네트워크의 indexing 및 querying 레이어로 활용될 것이다.
2.8.2 Others
Defillama는 가장 대표적인 DeFi 분석 웹사이트로, 수 많은 네트워크들의 DeFi와 관련된 온체인 데이터를 모아 제공해준다.
DeBank는 EVM 네트워크에 특화된 자산 대시보드 서비스로 편리한 UI로 특정 지갑의 자산을 표시해준다. 이에 더해 메신저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Dexscreener는 CEX에 비해 접근하기 어려운 DEX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제공해주는 서비스로, 사용자는 DEX에만 상장되어있는 토큰의 가격 차트를 보거나, 다양한 유동성 풀에 대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L2beat는 다양한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웹사이트로, 사용자는 TVL, Tx count 등과 같은 정량적인 데이터 및 리스크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도 볼 수 있다.
Dune은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은 쿼리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불러오고 이를 시각화할 수 있다.
최근 폴리곤은 Polygon 2.0이라는 로드맵을 통해 ZK-powered L2 chains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이라는 비전을 내비추었다. 세부 내용에 대해선 추후에 공개될 예정이지만, 폴리곤 생태계는 Polygon zkEVM 및 관련된 기술을 필두로 확장해나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앞으로의 로드맵을 위해 초기 Polygon zkEVM 생태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최근에 Rocket Pool의 rETH도 Polygon zkEVM으로 확장하자는 제안이 나온 만큼, 앞으로도 Polygon zkEVM에 더 많은 디앱들과 사용자들이 온보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의 비주얼을 제공해주신 Kate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